미국 이민세관단속국(ICE)에 체포돼 구금 중인 한국 근로자 300여명이 이르면 10일(미 동부시간) 한국으로 돌아오는 전세기를 탈 수 있을 전망이다. 한·미 간의 석방 교섭이 마무리되면서 후속 행정 절차가 끝나는 대로 귀국길에 오르는 것이다.
구금된 한국민 영사 지원을 총괄하는 조기중 워싱턴 총영사는 7일 오후 조지아주 포크스턴의 ICE 구금시설 앞에서 취재진을 만나 구금된 한국 직원들의 귀국 시점에 대해 “수요일(10일) 정도로 생각하고 있다”고 밝혔다.
전세기는 포크스턴 구금시설에서 차로 50분가량 떨어진 플로리다주 잭슨빌 국제공항에서 출발할 것으로 예상된다. 조 총영사는 “전세기를 운용과 관련해 기술적으로 협의해보니 제일 가까운 거리에 있는 공항이 잭슨빌 공항이라고 한다”고 설명했다.
애틀랜타 총영사관 등 주미 한국 공관에 소속된 외교부 당국자들은 전날에 이어 이날도 포크스턴 ICE 시설에서 구금 직원과 면담을 진행했다. 여성 직원들은 여성 전용 별도 구금 시설이 있는 조지아주 서부 내륙의 스튜어트 구금 센터에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포크스턴 ICE t구금시설에서 차로 3시간 30분 정도 떨어진 지역이다.
조 총영사는 “영사 면담은 일차적으로 다 마쳤다”며 ”여성들이 있는 수감시설도 거의 오늘 중으로 다 마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구금 상태에 있는 직원들에 대해 “다 모여 있는 식당에서 제가 봤는데 다들 잘 계시다”며 “다만 자택에서 있는 것만큼 편안하지는 않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건강상의 불편함이 있으신 분들은 의약품까지 다 처방받은 걸 확인했고, 필요한 물품과 약품도 저희가 전달해드렸다”고 덧붙였다.
조 총영사는 “희망하는 분들을 최대한 신속히 한국으로 보내드리기 위해 최대한 노력하고 있다”고 “개별 의사를 확인하는 절차를 거쳐야 한다. 최대한 빨리 진행해서 원하는 분들이 빨리 한국으로 갈 수 있게 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대통령실은 미국과의 석방 교섭이 마무리됐다며 “행정 절차가 마무리되는 대로 전세기가 우리 국민 여러분을 모시러 출발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ICE 등 미 이민 당국은 지난 4일 조지아주 엘러벨의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에 대한 이민 단속 작전을 벌여 한국인 300여명을 포함, 475명을 체포하고 구금했다.
포크스턴(조지아주)=임성수 특파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