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5년 10월 13일 오스트리아 빈 콘체르트하우스에서 발레리 게르기예프가 지휘하는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LSO)의 공연이 열렸다. 당시 피아니스트 예핌 브론프만이 바르톡의 LSO와 피아노 협주곡 3번을 협연했다. 브론프만이 이날 앙코르곡까지 소화했기 때문에 관객들은 당시 무대에서 어떤 일이 있었는지 알 수 없었다.
공연이 끝난 뒤 제1 바이올린 연주자 리스 왓킨스가 SNS에 올린 사진을 보고서 사람들은 깜짝 놀랐다. ‘피 묻은 피아노’라고 적힌 사진 제목처럼 브론프만이 친 피아노의 건반이 피로 물들어 있었던 것이다. LSO 관계자가 다음날 공식 페이스북을 통해 밝힌 사연은 이렇다. 콘서트 당일 아침 브론프만이 손가락을 베어 치료를 받았다. 상처가 깊어 연주를 취소해야 할 상황이었지만, 브론프만은 관객을 실망시킬 수 없다며 무대에 섰다. 연주 도중 상처라 벌어져 피가 흘러나왔지만 브론프만은 끝까지 의연하게 연주를 마쳤다.
거장 피아니스트 브론프만(67)이 오는 21일 서울 송파구 롯데콘서트홀에서 데뷔 50주년 기념 내한 리사이틀을 갖는다. 그의 내한은 지난 2023년 로열콘세르트헤바우 오케스트라(RCO)와 함께 리스트 피아노 협주곡을 연주한 지 2년 만이지만, 협연이 아닌 독주로 관객을 만나는 것은 지난 2001년 이후 24년 만이다. 그는 내한 리사이틀을 앞두고 가진 국민일보와의 서면 인터뷰에서 “그 순간에는 멈출 생각조차 하지 않았다. 음악이 저를 이끌었고, 관객과 오케스트라가 함께했다. 그 연결을 놓칠 수 없었다”고 당시를 회상했다.
옛 소련 출신으로 이스라엘을 거쳐 미국으로 이주한 브론프만은 테크닉과 섬세한 서정성을 겸비한 피아니스트다. 1975년 주빈 메타가 지휘하는 몬트리올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함께 국제무대에 데뷔했다. 독주, 실내악, 협주곡 등 다양한 장르에서 활발하게 활동한 그는 그래미상과 에이버리 피셔 상 등을 받으며 미국을 대표하는 연주자로 자리매김했다. 데뷔 50주년을 맞는 소감을 묻지 그는 “부상, 어려운 레퍼토리, 자기 의심의 순간 등 많은 도전을 겪었다. 그러나 음악 그 자체가 언제나 나를 일으켜 세웠다”면서 “피아노와 내가 사랑하는 작품들로 돌아올 때마다 새로운 힘을 얻는다”고 피력했다.
이번 내한 리사이틀은 슈만과 브람스, 드뷔시, 프로코피예프의 작품들로 구성된다. 1부에서는 슈만의 ‘아라베스크 C장조, Op.18’과 브람스의 ‘피아노 소나타 3번 f단조, Op.5’를 통해 깊이 있는 서정과 내면의 열정을 들려주고, 2부에서는 드뷔시의 ‘영상 제2권, L.111’과 프로코피예프의 ‘피아노 소나타 7번 B♭장조, Op.83’으로 색채와 역동이 살아 있는 근대 피아노 음악의 정수를 선보일 예정이다.
브론프만은 “서로 다르지만 동시에 깊이 연결된 슈만과 브람스의 음악 이후 드뷔시에서 시작해 프로코피예프로 발전해 가는 근대 음악을 흥미롭게 들을 수 있을 것”이라면서 “섬세한 드뷔시에 이어 전쟁 같은 폭발적 강렬함을 지닌 프로코피예프가 연주될 때 마치 음향적 충격파처럼 느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한국에 대한 특별한 애정도 드러냈다. 2년 전 협연 당시 가진 한국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한국인은 클래식에 타고난 재능이 있다”고 언급했던 그는 이번에도 “한국 음악가들의 탁월한 기교와 음악적 감수성의 조합에 감탄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한국 관객에 대한 존중도 빼놓지 않았다. 24년 만에 한국에서 독주를 하는 것에 대해 그는 “당시 리사이틀의 기억이 생생하다. 한국 청중은 열정적이고 집중력이 있었다. 이후 한국 공연을 올 때마다 청중의 열정이 점점 더 깊어지는 것을 느꼈다”면서 “한국 무대에 오를 때면 오랜 세월 만나지 못했어도 다시 만나면 곧바로 마음이 통하는 오랜 친구를 만나는 듯하다”고 말했다.
장지영 선임기자 jy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