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동방송 이사장 김장환 목사는 망신주기식 수사는 받아들이기 어렵다며 채해병 특검의 소환 통보에 응하지 않겠다고 7일 밝혔다.
김 목사 측은 이날 통화에서 “망신주기식으로 김 목사의 사적 통화 내역이 유출되고 사건과 관계없는 부분들이 알려지고 있다”며 “당장 수사에 협조하기가 어렵다”고 밝혔다. 최근 언론 보도에서 김 목사와 대통령실·국민의힘 의원들과 통화 내역이 공개된 바 있는데, 김 목사 측은 해당 통화가 수사와 관계없는 사적 통화라는 입장이다.
김 목사 측은 극동방송 전 사장 한모씨가 증거를 인멸하려 했다는 보도에 대해서도 “기본 원칙은 참고인으로서 수사에 협조하겠다는 입장이지만, 허위사실로 김 목사를 나쁜 사람으로 만드는 것은 수사의 범위를 넘어선 것”이라고 주장했다. 다만 김 목사 측은 “적법한 절차에 따른 적법한 수사에 대해선 언제라도 달려가서 협조하겠다”고 덧붙였다.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 관련 구명 로비 의혹을 수사 중인 특검팀은 김 목사에게 오는 8일 참고인 신분으로 조사를 받으라고 통보했다. 김 목사는 개신교계 원로 중 한 명으로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와 친분이 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검팀은 김 목사를 포함해 기독교계 인사들이 채해병 수사 기록 이첩 과정에서 국방부와 임 전 사단장의 중간 통로 역할을 했다고 의심한다.
특검팀은 지난 7월 김 목사가 이사장으로 있는 극동방송과 김 목사의 자택 등을 압수수색한 바 있다. 특검팀은 압수수색을 통해 2023년 7~9월 김 목사가 윤석열 전 대통령과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 등과 통화한 내역을 확인했다.
박성영 기자 ps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