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로수를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한 도시의 전략 자산으로 인식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활용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전문가들은 기계적으로 조성·식재하고, 민원이 발생하거나 도시계획 변경시 쉽게 베어내는 기존 방식으로는 가로수를 도시 문제 해결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가로수의 기능이 중요해진 만큼, 인력과 조직 재배치가 필요하다는 제언도 나왔다.
이창석 국립생태원장은 5일 제주썬호텔에서 열린 제2회 나무포럼 기조강연에서 ‘도시에는 왜 숲이 필요한가’를 주제로 발표하며 “과도한 토지 이용과 녹지 부족으로 도시 환경이 악화하고 있다”며 “열섬현상과 기온역전층 발생 등 도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녹지 확대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도시 환경을 개선할 때 오염 발생원을 줄이는 것만큼 오염 흡수원을 확대하는 작업이 중요하다”며 “숲을 늘리면 탄소 흡수외에도 다양한 생태계 서비스를 함께 제공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가로수를 조성할 때 도로변에 큰 나무를 일률적으로 식재하는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가로숲’ 형태로 다양하게 구성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김선희 국립산림과학원 생활권도시숲연구센터 연구관은 가로수의 정량적 평가를 통해 가로수를 더 가치있게 활용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김 연구관은 ‘현대 도시에서 가로수가 갖는 다양한 가치’ 주제 발표에서 ”가로수는 탄소를 흡수하고 주변 온도를 낮추는 환경적 역할 외에도 공동체 활성화, 주변 건물 에너지 소비 절약, 보행친화형 상권 형성 등 여러 기능을 수행한다”면서 “기존에 개발된 i-Tree 등 도구를 이용해 가로수의 가치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면 가로수 보호나 조성, 가로수를 활용하는 다양한 정책 결정에 중요한 근거로 사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홍영철 제주참여환경연대 대표는 ‘제주의 가로수 현황과 정책 과제’ 발표에서 “제주는 자연환경이 뛰어나지만 높은 습도와 갈수록 심화되는 더위로 도시의 생활 환경은 열악하다”며 “가로수 정책을 기후 위기 대응 전략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홍 대표는 “기후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대중교통 이용률을 높여야 하기 때문에 가로수를 심을 때 그늘이 넓은 수종을 선택하고, 성장의 기반이 되는 식수대를 넓게 만들어 나무가 크게 자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가로수 정책의 집중도를 높이기 위해 가로수팀과 가로수 조례를 별도로 제정·운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가로수 관련 민원에 대해 “가로수를 공유재산으로 인식하고, 명확한 대응 기준을 마련해 매뉴얼에 따라 일관되게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수국 제주대 교수는 ‘열섬 현상 완화와 폭염 대응을 위한 가로수 전략’ 발표에서 보도 부족 문제를 집중 제기했다. 박 교수는 “일방통행 전환 등으로 인도를 확보해 녹지를 늘려야 건강하고 활동적인 도시를 만들 수 있다”고 조언했다.
‘나무포럼’은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는 도시 생태계를 조성하고 제주도 도시녹지정책의 효과적인 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지난해 출범했다. 제주도와 국민일보·뉴시스제주본부가 공동 주최한다. 포럼에 이어 6일 한라생태숲에선 ‘제주 가로수 그림 카드 맞추기’ ‘제주에 사는 곤총 관찰하기’ 등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이 진행됐다.
제주=문정임 기자 moon112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