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홀로 남겨진 아이들이 화재로 목숨을 잃는 등 재난·재해 현장에서 골든타임을 지키지 못하는 사례가 잇따르는 가운데, 위급 상황 대응을 위해 도입된 119안심콜 서비스가 부산과 울산, 경남에서는 여전히 유명무실한 수준에 머물러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7일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한병도 위원장(더불어민주당·익산을)이 소방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7월 기준 전국 119안심콜 누적 가입자는 102만3138명으로 전체 인구 대비 1.99%에 그쳤다.
울산은 인구 109만여명 중 1만2776명만 가입해 1.17%로 전국 최저치를 기록했다. 부산은 325만명 중 5만4181명으로 1.67%, 경남은 321만명 중 6만6607명으로 2.07%에 그쳐 모두 전국 평균에도 미치지 못했다.
119안심콜은 위급할 때 환자의 병력과 보호자 정보를 미리 등록해 두면 구급대가 현장에서 즉시 확인해 응급처치와 병원 이송에 활용할 수 있는 서비스다. 2008년 도입됐지만 17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국민 50명 중 1명만 가입한 셈이다.
서비스 활용도 역시 낮았다. 지난해 부산에서 119구급차 출동 건수는 19만여 건에 달했지만, 안심 호출 이용은 3만건 남짓으로 16%에 그쳤다. 울산도 연간 5만건 넘는 출동에 5000건 수준이었고, 경남 역시 33만건 가까운 출동에 3만여 건으로 전체의 10%도 채 되지 않았다. 이 때문에 부·울·경 구급차 10대 중 8~9대는 환자 정보 없이 출동하는 셈이다.
전문가들은 특히 고령 인구 비율이 높은 부산·울산에서 안심콜 가입률이 저조한 것은 위험 요인이라고 지적한다. 한 의원은 “의료 취약계층에 119안심콜은 생명을 지키는 최소한의 안전망”이라며 “소방당국이 가입률을 끌어올릴 실효성 있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