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제주도와 국민일보, 뉴시스제주본부가 공동 주최한 제2회 나무포럼에서 도시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할 해법으로 가로수의 역할을 확대해야 한다는 제언이 이어졌다. 전문가들은 가로수가 시민과 가장 가까운 자연으로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고 강조하고, 도시민의 삶의 질을 높일 전략 자산으로 가치있게 활용할 것을 주문했다.
이창석 국립생태원장은 ‘도시에는 왜 숲이 필요한가’ 주제 기조강연에서 “과도한 토지 이용과 녹지 부족으로 도시 환경이 악화하고 있다”며 “열섬 현상, 기온역전층 발생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녹지를 늘리는 작업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 원장은 “기상측정망을 통해 서울 각 기점의 온도를 측정한 결과 도심과 근교 간 온도 차이가 5도에 달했다”며 “두 지역 간 거리는 불과 25㎞에 불과했음에도 녹지 분포의 차이가 이러한 온도 격차를 초래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도시 환경을 개선할 때 오염 발생원을 줄이는 것만큼 오염 흡수원을 확대하는 작업이 중요하다. 다양한 생태계 서비스를 함께 제공받을 수 있기 때문”이라며 “가로수를 조성할 때 도로를 따라 큰 나무를 식재하는 고정된 형태에서 벗어나 ‘가로숲’으로 조성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이 원장은 “과거에는 개발지를 확보한 뒤 남는 땅에 녹지를 조성했지만, 최근에는 손 모양의 방사형 녹지를 확보하고, 그 사이를 개발지로 활용하는 새로운 형태의 ‘핑거 플랜(Finger Plan)’ 도시 개발 방식이 활용되고 있다”면서 “가로수 등 도시녹지를 조성할 때 지역 여건에 따라 다양한 방식을 찾아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고 했다. 이 원장은 다만 “가로숲을 조성할 때에는 서로 생태가 어울리는 수종으로 구성해야 조화롭게 성장할 수 있다”며 “세심하고 전문적인 설계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김선희 국립산림과학원 생활권도시숲연구센터 연구관은 정량적 평가를 통해 가로수를 더 가치있게 활용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김 연구관은 ‘현대 도시에서 가로수가 갖는 다양한 가치’ 발표에서 “가로수는 탄소를 흡수하고 주변 온도를 낮추는 환경적 역할 외에도 사회적 교류를 증가시켜 공동체를 활성화하고, 해당 구역 건물의 에너지 소비를 줄이는 등 다양한 경제적 기능을 수행한다”고 설명했다.
또 “가로수가 잘 형성된 곳은 경관성이 좋고 열쾌적성이 높아 ‘걷고 싶은 거리’가 되고, 보행친화형 상권이 형성되면 지역상권의 매출이 늘어 유동인구 유치력과 브랜드 가치가 증진된다”고 말했다.
김 연구관은 “이 같은 가로수의 보이지 않는 가치를 경제적 가치로 전환해 가로수의 편익을 지속적으로 평가하고, 그 결과를 정책 수립에 반영해 나가야 한다”고 제언했다.
김 연구관은 “가로수는 생명 자체로서의 의미를 넘어 도시의 생존 전략이 되었다”면서 “기존에 개발된 i-Tree 등 도구를 이용해 가로수의 가치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면 가로수 보호나 조성, 가로수를 활용하는 다양한 정책 결정에 중요한 근거로 사용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제2회 나무포럼은 가로수를 주제로 기조강연과 4개 세션이 진행됐다. ‘가로수, 환경과 문화를 품다’ ‘기후위기 시대, 가로수 관리 전략’ ‘도시계획과 가로수’ ‘시민과 함께 가꾸는 제주 가로수의 미래’ 세션에선 모두 12명의 전문가와 실무자들의 발표가 이어졌다. 이어 6일에는 제주 한라생태숲에서 ‘제주 가로수 그림 맞추기’ ‘허브 식물로 스머지 스틱 만들기와 삽목’ ‘제주에 사는 곤충 만나기’ 등 자연을 가까이에서 느끼는 체험 프로그램이 진행됐다.
제주=문정임 기자 moon112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