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고용 증가세가 8월 들어서도 크게 부진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의 노동시장 냉각이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서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이달 금리 인하에 나설 것이란 기대가 더욱 강화될 전망이다.
미 노동부는 지난달 미국의 비농업 일자리가 전월 대비 2만2000명 증가했다고 5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는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7만5000명)를 크게 밑돈 수치다.
8월 고용은 의료(3만1000명), 사회지원(1만6000명) 부문이 그나마 고용 증가를 유지했다. 전체 민간 부문 고용은 3만8000명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연방정부 고용은 8월 중 1만5000명 감소했다. 연방정부 고용은 정부효율부(DOGE)가 주도한 공공영역 구조조정을 반영해 올해 들어 총 9만7000명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6~7월 고용 증가 폭은 종전 발표 대비 총 2만1000명 하향 조정됐다. 6월 고용이 2만7000명 증가에서 1만3000명 감소로 하향 조정됐고, 7월 고용은 7만3000명 증가에서 7만9000명 증가로 상향 조정됐다.
시간당 평균임은 전월 대비 0.3% 올라 시장 전망에 부합했다. 전년 동기 대비로는 3.7% 올라 시장 전망(3.8%)을 밑돌았다.
실업률은 7월 4.2%에서 8월 4.3%로 상승해 전문가 예상에 부합했다.
이날 보고서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에리카 맥엔타퍼 노동통계국장을 경질한 이후 나온 첫 번째 보고서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1일 미국의 고용 상황이 최근 3개월 사이에 상당히 악화했음을 보여주는 통계치를 발표하자 해당 통계가 조작됐다며 전임 행정부가 임명했던 맥엔타퍼 국장을 해임하고 보수 성향 싱크탱크인 헤리티지 재단의 수석 이코노미스트인 E. J. 앤토니를 후임 국장으로 지명했다.
현재 노동통계국장은 빌 비아트로우스키 부국장이 대행을 맡고 있다.
6~7월 신규 고용이 부진했던 데 이어 8월 들어서도 고용 증가 폭이 2만명 초반대에 머문 것은 미국의 고용 사정이 지속해서 냉각되고 있음을 가리킨다.
경제학자들은 그동안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경기 둔화와 고용시장 약화를 초래할 것이라고 꾸준히 경고해왔다.
다만 신규 채용이 최근 몇달 간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음에도 실업률이 완만하게 상승한 것은 해고가 늘어나지 않았음을 시사한다.
관세 정책 여파로 불확실성이 커지고 불법 이민자 추방 정책으로 신규 노동공급이 제한된 가운데 기업들이 신규 채용을 주저하면서도 동시에 기존 직원을 해고하는 데 신중해졌을 가능성이 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지난달 잭슨홀 심포지엄 연설에서 최근 노동시장 상황에 대해 “노동 공급과 수요 모두가 뚜렷하게 둔화한 데서 비롯된 특이한 균형”이라고 진단했다.
이날 고용시장 냉각을 보여주는 고용보고서가 발표되면서 연준이 오는 16~17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 인하를 재개할 것이란 기대도 더욱 커질 전망이다.
시장은 이전부터 연준이 이달 통화정책 회의에서 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할 것이라고 예상해왔다.
나아가 다음 회의에서 0.50%포인트 인하 가능성에 대해 논의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구정하 기자 g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