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러니 ‘노쇼사기’ 안 끊기지… 3000건 육박해도, 검거율 고작 0.7%

입력 2025-09-05 09:55
사진=연합뉴스

올해 전국에서 발생한 ‘노쇼(NO-SHOW)’ 사기가 약 3000건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억원 넘는 피해가 발생했지만, 검거율은 1%도 채 안 됐다. 경기 불황에 허덕이는 자영업자들의 실음도 커지고 있다.

5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박정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경찰청에서 받은 ‘시도별 노쇼 사기 현황 자료’에 따르면 올해 1~7월 전국에서 발생한 노쇼 사기는 2892건으로 집계됐다. 피해액은 414억원에 달한다.

노쇼 사기는 공공기관·기업 등으로 속여 대량 주문을 하며 선결제·대리구매를 유도한 후 현장에 나타나지 않는 행위 등을 이른다.

지역별로는 경기도가 577건(피해액 79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경북 284건(38억원), 서울 281건(33억원), 전북 216건(35억원) 순이었다.

범인이 검거된 건수는 0.7%(22건·81명)에 불과했다. 특히 서울·세종·부산·울산·경기 북부·경북·제주 등에선 단 1건의 사건도 해결되지 않았다.

박 의원은 “전화 주문 사기는 유명한 공공기관과 기업의 이름을 빌려 소상공인을 현혹하게 만드는 악질 범죄”라며 “서민을 울리는 악질 범죄를 뿌리 뽑고, 0.7%에 머물러 있는 검거율을 높이기 위해 경찰이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권중혁 기자 gre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