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경호 국민의힘 의원은 4일 12·3 비상계엄 사태 당시 여당 원내대표로서 계엄을 사전에 인지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내란특검 주장에 대해 “소설이나 억측”이라고 반박했다. 추 의원은 정부의 신속한 계엄해제 조치를 촉구하기 위해 당시 정진석 대통령 비서실장과 통화했다는 사실도 처음 공개했다.
추 의원은 국회에서 계엄 당시 상황 관련 기자회견을 열고 “저를 포함한 국민의힘 의원 누구도 비상계엄을 사전에 몰랐다”고 말했다. 추 의원은 비상계엄 전날인 지난해 12월 2일 의원총회에서 민주당의 ‘줄탄핵’과 예산안 단독 처리 등에 대응하는 ‘이재명 민주당 탄핵남발 방탄폭거 규탄대회’를 같은 달 4일 열기로 결정했다는 점을 근거로 제시했다. 그는 “12월 4일 국회에서 전국 단위 대규모 집회를 추진했다는 것은 계엄을 사전에 인지했거나 공모했다는 가설이 성립되지 않는다는 방증”이라고 주장했다.
추 의원은 의원총회 장소를 국회에서 당사로 바꿔 국회 계엄해제 표결을 방해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당일 자신의 동선과 지시 사항을 분 단위로 공개하며 “사실관계가 전혀 맞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계엄 당일 자신이 최초로 의총 소집을 지시한 장소는 국회였으며, 이후 당 지도부가 최고위원회의를 당사로 소집했던 점과 경찰의 국회 통제로 국회 출입이 어려워 의총 장소를 당사로 변경하는 게 좋겠다는 여러 건의를 받아들여 불가피하게 의총 장소를 당사로 변경했다는 것이다.
또 “윤석열 대통령과 통화 후 공모해 국회 표결을 방해한 의혹 제기가 있는데, 저는 반대로 대통령과 통화 후 의총 장소를 국회로 변경하고 이동했다”고 밝혔다. “국회 출입이 가능했을 때는 계속 국회로 공지했고, 국회 출입이 통제됐을 때만 당사로 변경했던 것”이라고 추 대표는 주장했다.
아울러 추 의원은 “그날 종일 통화가 되지 않았던 (정진석) 대통령 비서실장과의 통화가 새벽 2시58분에 비로소 됐다”며 “제가 국회 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이 왔는지 확인하고, 빨리 신속하게 계엄 해제 조치를 해달라고 촉구했다”고 말했다. 이어 “비서실장도 공감하고 그렇게 진행하겠다고 약속했다”며 “계엄 해제를 막으려는 의도가 없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명백한 사실이자 민주당의 허위날조 의혹을 무너뜨리는 증거”라고 강조했다.
국민의힘은 내란특검이 사흘째 원내대표실 등에 대한 압수수색을 시도하자 국회 본청 앞에서 규탄대회를 열고 본격 여론전에 돌입했다. 장동혁 대표는 빗속에서 “오늘은 쓰레기 같은 내란정당 프레임을 깨는 날”이라며 “모래 위에 쌓아 올린 정치특검 수사는 결국 이재명 정권의 목을 베는 칼날이 될 것”이라고 비판했다. 국민의힘은 조은석 특검과 특검 관계자 등 8명을 직권남용 혐의로 서울중앙지검에 고발했다. 전날엔 특검의 원내대표실 압수수색 집행 저지를 위해 국회 본관 복도에서 의원총회를 열고 연좌 농성을 벌였다.
정우진 이강민 기자 uz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