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돌봄 시행 코앞 “교회, 담장 벗어나 핵심적 역할 감당할 때”

입력 2025-09-04 17:16 수정 2025-09-04 17:46
게티이미지뱅크

초저출생·초고령화라는 국가적 위기 앞에 돌봄은 선택이 아닌 필수 과제다. 내년 3월 시행을 앞둔 ‘의료·요양 등 지역 돌봄의 통합지원에 관한 법률’(돌봄통합지원법)은 지역사회 중심의 돌봄 체계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에 교회가 지역공동체 안에서 지속적이고 실질적 돌봄의 주체로 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국민일보는 4일 서울 여의도 국민일보빌딩 컨벤션홀에서 ‘돌봄, 세상과 교회를 잇다’를 주제로 2025 국민미션포럼을 개최했다. 기조 강연에 나선 한국일 장로회신학대 은퇴교수는 “통합돌봄은 국가 정책과 지역 참여가 함께 만드는 커뮤니티 케어”라면서 “교회는 복음과 하나님의 나라 정신에 부합하는 돌봄을 일상적이며 구체적으로 실천하는 주체가 되어야 한다”고 역설했다. 한 교수는 이를 위해 “교파 중심 등 한계를 넘어 선교적 교회로의 변화가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한국교회는 어떻게 돌볼 수 있는가’라는 주제 발제를 맡은 이기일 전 보건복지부 차관은 “2050년 고령화율 40%로 전망되고, 해마다 어린이집 2000여개가 사라지는 상황에서 교회는 어르신 고독사 예방 사업 등은 물론 미혼모, 외국인 등 사회적 약자에 대한 돌봄에 참여하고 있다”며 “통합돌봄이 본격화되면 정부와 지역 사회의 돌봄 동반자로서의 교회 역할이 더 중요해질 것”이라고 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서면 축사를 통해 “돌봄은 국가뿐만 아니라, 교회와 같은 사회공동체가 함께 관심을 가지고 나설 때 해결될 수 있다”며 “국가 차원의 관심과 지원, 교계의 헌신이 함께 힘을 모은다면 우리 공동체는 더욱 따뜻하고 건강해질 것”이라고 기대를 전했다. 조민제 국민일보 회장은 “한국교회가 저출생과 초고령화 현실 앞에서 돌봄의 사명을 고민해야 할 때”라며 “교회의 공적 영역에서 돌봄 구현을 위한 지혜를 모으자”고 강조했다.

국민일보는 지난 3월부터 연중 기획 ‘너와 나, 서로 돌봄’을 통해 우리 사회에 끊어진 관계를 잇고 돌봄의 해법을 모색하는 교계의 노력을 전해왔다.

신은정 기자 sej@kmib.co.kr

▶ 연관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