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에 맞춰 직원과 가족을 위한 주거지원 대책을 내놨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4일 기자회견에서 “해수부 직원들의 가족 단위 이주와 안정적 정착을 돕겠다”며 “이번 대책은 타 시도와 비교해도 유례없는 규모”라고 밝혔다.
시는 우선 약 350억원을 투입해 아파트 100호를 4년간 임차해 가족 동반 직원에게 관사로 제공한다. 해수부 내부 기대치를 크게 웃도는 물량으로, 세종보다 높은 부산의 전월세 부담을 해소할 수 있는 파격적 조치라는 평가다.
장기 정착을 위해서는 공동주택 우선 공급과 특별 공급을 병행한다. 시는 조성원가 수준으로 아파트를 공급할 수 있는 후보지 17곳(서부권 6곳, 중부권 2곳, 동부권 9곳)을 검토 중이다. 최종 신청사 건립 위치와 공급 시기 등을 고려해 해수부와 협의한 뒤 구체적인 계획을 마련할 예정이다. 공공·민간 택지 내 분양주택 일정 물량도 특별공급으로 배정한다.
거주 인센티브도 다양하다. ▲이주 정착금(1인당 400만원) ▲정착 지원금(월 40만원, 4년간) ▲자녀 장학금(취학 자녀 1인당 일시금 150만원·월 50만원 2년간) ▲양육 지원금(미취학 아동 1인당 월 50만원 2년간) ▲출산 지원금 추가 지급(이주 2년 내 출산 시 자녀당 200만원) ▲중개·등기 수수료 지원(최대 100만원) 등이 포함됐다.
시는 이번 대책이 해수부 직원 조기 정착을 넘어 향후 공공기관·기업 유치에도 긍정적 파급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한다. 박 시장은 “해수부 이전은 단순한 근무지 이동이 아니라 가족의 생활 터전 전체가 옮겨오는 대규모 변화”라며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주거 대책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이어 “부산이 글로벌 해양 허브 도시로 도약하려면 해수부 기능 강화와 공공기관, HMM 본사 이전, 해양 중심 신산업 육성, 고급 인재 양성이 동시에 추진돼야 한다”며 “이를 위해 범정부적 지원과 국회의 특별법 제정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시는 이번 주거 대책을 포함한 교육·보육·여가생활·청사 조성 분야 종합 지원안을 해수부, 국회, 시의회와 협의해 오는 10월 확정할 계획이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