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의 명운이 걸린 대구경북신공항(이하 TK신공항) 사업이 활로를 찾지 못하고 있다. 올해 말까지 재원 마련 방법을 찾지 못하면 사업 일정에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는 불안감이 높아지고 있다.
4일 대구시 등에 따르면 최근 발표된 내년도 정부 예산안에 TK신공항 건설과 관련된 예산은 민간공항 설계비와 보상비 등 318억원이 전부다. 앞서 대구시는 올해 초 11조5000억원 규모의 군공항 관련 공공자금관리기금(이하 공자기금)을 기획재정부에 요청했다. 내년도 사업 첫 예산으로 2795억원이 필요했다. 하지만 2795억원의 예산은 반영되지 않았다. 이를 두고 지역에서는 사업 유지 명분으로 최소한의 예산만 반영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TK신공항 사업은 2026년 4월 착공, 2030년 개항이 목표다. 하지만 이 사업의 핵심인 공자기금을 확보하지 못하면 자칫 개항이 늦춰질 수도 있다. TK신공항 건설을 위한 절차가 상당 부분 진행됐지만 가장 중요한 자금 조달 방법이 아직 정해지지 않아 발목을 잡고 있는 모양새다.
시는 2023년 4월 TK신공항 특별법 통과 후 민관공동개발사업 특수목적법인(SPC) 구성 방식을 검토해오다 경기 침체로 민간 사업자를 구하기가 어렵게 되자 공자기금을 활용한 시 주도 공영개발방식으로 사업 방향을 바꿨다. 정부의 공자기금을 빌려 사업을 시작하고 이후 개발 수익으로 갚는 방식이다.
지역에서는 TK신공항 사업이 목표 일정대로 진행되기 위한 마지노선을 올해 말까지로 보고 있다. 이에 대구시는 국회 본회의가 열리는 올해 말까지 공자기금 확보를 위해 최선을 다할 방침이다. 여·야 정치권 협력 요청과 다른 지방자치단체와의 공조 등을 통해 난관을 헤쳐나갈 계획이다. 대구시는 경북도와 태스크포스(TF)를 구성했고 광주와도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정부에 ‘광주 군공항TF’같은 범정부 전담팀 구성도 지속적으로 건의하고 있다.
대구시 관계자는 “정부 예산안이 국회로 넘어가 심사를 받아야 하기 때문에 아직 변동의 가능성이 남아있다”며 “이제는 국회의 시간이기 때문에 올해 연말까지 가능한 모든 방안을 동원해 재원 확보에 나설 계획이다”고 말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