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경찰청은 국무회의 의결을 통해 2026년 해양주권 강화와 해양안전 확보를 위한 해양경찰청 예산이 국회에 제출된다고 3일 밝혔다.
정부예산안에 반영된 해경청 총 재정규모는 2조1325억원이다. 일반회계 예산안은 전년도 1조9923억원 대비 947억원(4.8%) 증가한 2조870억원, 기금안은 전년도 408억원 대비 47억원(11.5%) 증가한 455억원이다.
주요사업 분야별로는 해양주권 분야 5064억원, 구조안전 분야 1475억원, 수사 분야 236억원, 해양환경보전 분야 292억원, 연구개발 등 조직역량 분야 2403억원 등이 각각 반영됐다.
특히 구조안전 분야의 경우 전년 1122억원 대비 31.5%가 증가해 해양안전 관련 장비 도입과 지원 확대를 통해 내년에는 국민들이 바다를 더욱더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항공기 도입 부문에서는 노후 카모프 헬기 8대를 교체하는 사업 중 마지막 노후 헬기에 대한 예산이 반영됐다. 카모프 헬기 교체사업은 장비 노후화, 높은 수리비용과 부품 수급의 어려움, 열상장비와 탐색레이더 미탑재 등의 문제로 지난 2021년부터 진행해 왔으며, 이번 마지막 교체 예산 반영으로 전국 어느 해역에서든 재난 등 긴급상황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게 됐다.
또 중앙정부기관 최초로 해상에서의 실제 비행 및 수색구조 환경을 그대로 재현할 수 있는 대형헬기 시뮬레이터 도입 예산도 반영됐다. 대형헬기 시뮬레이터 장비는 지난 2022년 4월 8일 수색지원 활동 중인 해양경찰 대형헬기(S-92)가 마라도 해상에서 추락한 사고 이후 지속적으로 필요성이 제기돼 오던 사업으로 이번 예산 반영을 통해 조종사의 안전을 지키고 인명구조 등 임무수행을 안전하게 수행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함정건조 부문에서는 노후된 3000t급 대형함정과 중형 공기부양정 및 합정탑재 고속단정 교체 예산 등이 반영돼 앞으로 불법 외국어선 단속과 구조대응 역량을 한층 더 강화시켰다.
이번 해경청 정부예산안은 국회심의 과정을 거쳐 12월 초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김용진 청장은 “해양에서 국민의 안전을 지키고 해양주권을 수호하는 경비, 장비, 안전 등 각 분야 현장중심 예산이 내년도 정부예산안에 잘 반영됐다”며 “앞으로 남아 있는 국회심의 절차를 철저히 준비하고 최종 확정된 예산으로 내년에는 국민들이 더욱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우리 바다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인천=김민 기자 ki84@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