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만4400명을 넘는 사람이 자살로 생을 마감한 것으로 전해졌다. 자살은 사회 구조적인 문제로 벌어지는 결과인 만큼 범정부 차원의 대응 기구가 마련돼 총체적인 대책을 수립하자는 제안이 나왔다.
국회자살예방포럼 공동 대표인 김교흥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생명보험협회 산하 생명보험사회공헌위원회가 개최한 제8회 국제 세미나에서 “지난해 자살자가 1만4439명으로 전년 대비 461명(3.3%)이나 증가했다. 자살 문제는 사회 구조적 문제이므로 종합 대책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높은 자살률을 끌어내리려면 범정부 차원의 자살대책위원회를 설치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전 부처가 협력해 고령층과 청년 등 자살 고위험군을 집중적으로 보살펴야 한다는 것이다. 정부는 자살예방법을 제정하고 디지털 기반 자살 조기 대응 정책 마련 등을 추진했지만 지역 격차와 예산 부족 등으로 실패했다는 설명이다.
랴오시청 국립대만대 교수는 “대만은 2006년 자살률 급등을 계기로 자살 시도자 사후 관리 체계(NSSS)와 국가 자살 통계 인프라를 구축해 자살 조기 개입 및 추적 관리 체계를 마련했다”면서 “2019년에는 사후 관리와 유해 물질 접근 제한, 언론 보도 가이드라인 등을 법규화했으며 부처 간 협력이 가능한 대응 기구를 통해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국회자살예방포럼은 2024년 창립돼 여야 의원 27명이 참여하고 있다. 자살 예방 정책 세미나와 입법 지원, 예산 확보, 제도 개선 활동 등을 생보사회공헌위, 안실련(안전생활실천시민연합)과 함께 해오고 있다.
김진욱 기자 real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