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재로 드러난 대구 노곡동 침수 정부 감사 받는다

입력 2025-09-02 12:53 수정 2025-09-02 13:02
대구 북구 노곡동 침수 당시 모습. 연합뉴스

지난 7월 집중호우 때 발생한 대구 북구 노곡동 침수 사태가 정부의 합동감사 대상에 포함됐다. 안전을 강조하는 정부 정책 기조에 따라 세밀한 감사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2일 대구시에 따르면 정부 합동감사팀이 최근 시에 노곡동 침수 사고 관련 자료를 요청하는 등 사전 조사를 시작했다. 정부가 시를 대상으로 진행할 예정인 합동감사 목록에 노곡동 침수 사고를 넣은 것이다. 이에 따라 시 자체적으로 진행하던 안전감찰은 잠정 중단됐다. 합동감사팀은 사전 조사 작업 후 17일부터 10월 1일까지 본감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15년 만에 재발한 노곡동 침수는 시설 문제와 관리 주체 이원화 등이 겹쳐 발생한 인재(人災)로 드러났다. 금호강변에 위치한 노곡동은 2010년 7월에도 2차례 침수 피해를 당한 지역이다.

앞서 시의 의뢰를 받아 사고 원인을 분석한 ‘노곡동 침수사고 조사단’은 마을을 관통하는 직관로 수문이 제대로 열려 있지 않았던 것을 침수 사고의 주원인으로 꼽았다. 직관로 수문은 평상시나 강우 초기 마을의 우수를 금호강으로 직배수하기 위해 100% 개방해야 하지만 수문 고장으로 3.18%만 개방된 상태로 운영돼 배수능력을 상실한 것으로 파악됐다.

배수로 제진기(배수펌프로 유입되는 쓰레기 등을 걸러내는 기기)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은 것도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됐다. 직관로 수문 고장 때문에 배수돼야 할 물이 일시에 제진기 입구로 유입되면서 제진기가 막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못했다는 것이 조사단 판단이다.

당시 펌프장 수문 1개가 고장으로 닫혀 있었고 게이트펌프(수문에 달린 펌프) 1개도 고장으로 철거된 상태였던 점, 고지대에 터널 형태로 만들어진 고지배수로 입구의 침사지 운영 방식이 설치 목적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점 등도 사태를 키운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빗물 펌프장과 고지배수로 등 노곡동 침수 피해 방지를 위해 설치한 시설물 관리 주체가 시와 북구로 나뉘어져 있어 운영·관리 일관성 확보가 어려웠던 점도 일을 키운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에서는 정부의 안전 강화 분위기 때문에 노곡동 침수 사고가 합동감사 대상에 들어간 것이라는 예측이 나온다. 합동감사를 통해 정부 차원의 재발 방지책이 도출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진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