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외환 의혹을 수사 중인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추경호 전 국민의힘 원내대표를 겨냥한 강제수사에 2일 착수했다.
이 의혹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직후 국민의힘이 의도적으로 국회 계엄해제요구안 의결을 막거나 지연시켰다는 내용이다.
법조계에 따르면 특검팀은 이날 오전부터 서울 강남구 소재 추 전 원내대표 자택 등을 압수수색하고 있다. 특검팀은 의원실도 압수수색하기 위해 국회 사무처에서 영장 집행 여부를 협의하고 있다.
비상계엄 당시 추 전 원내대표를 수행한 당 사무처 직원 집도 압수수색 대상에 포함됐다고 한다.
특검팀은 비상계엄 선포 후 추 전 원내대표 등이 윤 전 대통령 측 요청을 받고 의원총회 장소를 수차례 바꾸는 방식으로 계엄 해제 표결 참여를 방해했다는 의혹을 수사하고 있다.
추 전 원내대표는 계엄 선포 직후 비상 의원총회를 소집했는데, 처음엔 장소를 국회로 공지했다가 서울 여의도 당사로 변경했다. 그러고는 소집 장소를 국회로 공지했다가 당사로 한 차례 더 바꿨다.
이 때문에 국민의힘 의원 여러 명은 계엄 해제 의결에 참석하지 못했다. 국회 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은 국민의힘 의원 108명 중 90명이 참여하지 않은 상태에서 재석 190명, 찬성 190명으로 가결됐다.
특검팀은 추 전 원내대표가 계엄 선포 직후 윤 전 대통령 등과 통화한 내역도 확보해 수사 중이다.
추 전 원내대표는 당시 차량을 이용, 자택에서 국회로 이동하던 중 홍철호 전 정무수석과 한덕수 전 국무총리에게 차례로 전화를 걸어 통화했으며, 이후 윤 전 대통령과도 통화했다.
특검팀은 추 전 원내대표가 이들과 통화하면서 계엄 상황에서 여당의 ‘역할’을 요구받은 게 아닌지 의심하고 있다.
특검팀은 당시 추 전 원내대표 동선을 파악하고 이를 재구성해 장소 변경과 이동, 외부 연락 과정에서 어떤 일이 있었는지 규명할 계획이다. 수행 직원을 통해서도 추 전 원내대표 행적을 추적할 것으로 전망된다.
추 전 원내대표 측은 계엄을 사전에 인지하지 못했으며 윤 전 대통령과 표결 방해를 논의하지도 않았다는 입장이다.
추 전 원내대표 측은 윤 전 대통령이 표결 방해를 지시했다면 의원들이 국회에 모이지 않도록 해야 했지만, 통화 후 소집 장소를 다시 국회로 변경한 점 등을 근거로 들고 있다.
의원총회 장소를 변경한 데 대해선 당초 의원들에게 국회로 모이라고 공지했으나 당시 당대표실에서 최고위원회의를 당사에서 열기로 해 엇박자가 생겼고, 국회 출입 통제가 더해져 불가피했다는 게 추 전 원내대표 측 설명이다.
특검팀은 이와 관련해 지난달 21일 국회 사무처를 압수수색해 CCTV 영상 등을 확보했다.
특검팀은 이날 확보한 자료를 검토한 후 추 전 원내대표를 소환해 관련 의혹을 조사할 계획이다.
손재호 기자 say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