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과 경남 김해·양산을 오가는 대중교통 광역 환승요금이 오는 19일부터 전면 무료화된다. 일반 기준 500원이던 추가 요금이 없어지면서 시민들은 연간 55억원 규모의 교통비 절감 효과를 볼 것으로 기대된다.
부산시와 경남도, 김해시, 양산시는 1일 “부·울·경 초광역경제동맹 시도민 체감형 사업의 하나로 광역 환승 무료화를 합의했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2011년 제도 시행 이후 처음으로 전면 무료화에 나서는 것으로, 시민 부담을 덜고 대중교통 이용률을 높이며 지역 생활권 통합을 앞당기는 성과가 될 전망이다.
그동안 부산·김해·양산 간 버스나 도시철도를 이용할 경우 환승 과정에서 광역환승요금이 추가로 부과됐다. 하차 후 30분 이내 최대 2회까지 환승은 가능했지만, 첫 번째 환승 때 일반 500원(청소년 260원), 두 번째 환승이 다른 지역 교통수단일 경우 일반 200원(청소년 130원)을 내야 했다. 이는 교통비 부담을 늘리고 행정 경계를 넘어선 생활권 형성을 가로막는 요인으로 지적돼 왔다.
이번 무료화로 환승 제도의 틀은 그대로 유지된다. 환승은 종전처럼 하차 후 30분 이내 최대 2회까지 가능하지만, 그 과정에서 부과되던 모든 추가요금 규정은 전면 폐지됐다. 시민들은 앞으로 부산·김해·양산을 시내·마을버스, 도시철도, 경전철 등으로 오가면서 추가 비용 없이 교통수단을 갈아탈 수 있다.
시는 이번 조치로 연간 약 55억원 규모의 교통비 절감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해 기준 부산 교통수단별 환승요금 수입은 시내버스 6억8200만원, 마을버스 9100만원, 도시철도 25억4800만원, 경전철 21억7900만원 등 모두 약 55억원에 달했다. 이 금액이 고스란히 시민 부담 감소로 이어진다는 것이 시의 설명이다.
무료화는 모든 교통카드 사용자에게 자동 적용되며 별도의 신청은 필요 없다. 시는 “광역 환승제도 개선이 시민의 삶에 직접적인 변화를 불러올 것”이라며 적극적인 참여를 당부했다.
박형준 시장은 “시민 교통 복지를 실현하고 환경친화적인 교통 전환을 이끌기 위해 부산시와 경남도(김해·양산)가 힘을 모았다”며 “앞으로도 두 지역이 하나의 생활권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광역 교통체계를 지속적으로 개선하겠다”고 말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