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교진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석사논문 표절 논란에 대해 “출처 표시가 소홀했다”며 사과의 뜻을 밝혔다. 최 후보자가 해당 논란에 대해 공식적으로 사과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최 후보자는 31일 국회에 제출한 인사청문회 서면질의 답변서에서 “논문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기사 등을 인용하며 출처 표기가 없었던 점에 대해 송구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최 후보자는 2006년 12월 목원대 대학원 행정학사 석사 학위 논문으로 ‘매니페스토 운동에 나타난 정책공약 분석’을 제출하면서 다수의 신문 기사 문장을 출처 표기 없이 인용해 표절 의혹에 휩싸였다.
최 후보자는 “다만 논문의 핵심 내용이 매니페스토 운동이라는 당시의 새로운 정치 현상에 관한 것이라 언론 보도를 일부 활용할 수밖에 없었고 그 과정에서 출처 표시가 소홀했다”며 “해당 논문은 연구 윤리 관련 구체적 기준이 정립되기 이전인 2006년에 작성된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최 후보자는 “논문에 미흡한 부분이 있었던 점은 송구스럽게 생각한다”고 재차 사과하며 “기회가 주어진다면 합리적이고 자율적인 연구환경과 문화가 조성될 수 있도록 현장과 충분히 소통하며 연구윤리 제도가 확립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최 후보자는 과거 SNS에서 조국 전 법무부 장관에 대해 ‘정치적 탄압’을 받고 있다는 취지의 발언을 한 것에 대해서도 사과했다. 그는 “교육자로서 입시 비리와 관련해 청년들이 받은 상처를 먼저 살펴야 했는데 그러지 못한 점을 송구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당시 검찰의 과도한 수사와 권한 남용에 대한 비판에 공감하는 취지로 관련 글을 공유했으나, 자녀 입시 비리 등을 옹호하려는 의도는 아니었다”고 해명했다.
이른바 ‘서울대 10개 만들기’ 정책으로 일반 대학이 정부 지원에서 소외당하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는 “내년 정부 예산안에 따르면 거점국립대에 대한 지원은 다른 대학에 대한 투자의 감액 없이 별도의 증액을 통해 이뤄진다”고 답했다. 서울대 10개 만들기는 국가 균형 성장을 위해 9개 거점 국립대를 서울대 수준으로 끌어올린다는 이재명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다.
최 후보자는 이어 “특히 초중등 교육에 중요한 교육대학에 대해서는 역량 있는 예비교원을 양성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 개선 등 지속적인 지원·협력 방안을 모색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고교 내신평가제의 향후 변화 방안에 대해서는 “고교학점제에서 학생들의 자유로운 과목 선택을 보장하기 위해 고교 내신의 절대평가 전환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한다”며 “향후 국가교육위원회에서 차기 대입 개편 논의 시에 종합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박은주 기자 wn1247@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