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는 기획재정부가 지난 29일 발표한 ‘2026년 정부 예산안’에 역점 사업을 대거 반영했다고 31일 밝혔다.
시는 올 초부터 주요 사업 점검과 신규 과제 발굴에 총력을 기울여 왔다. 특히 박형준 부산시장이 구윤철 경제부총리를 직접 만나 국비 지원 필요성을 강조하는 등 막판까지 중앙부처 설득에 나선 끝에 성과를 거뒀다는 평가다.
예산안에는 교통·물류, 금융·창업, 디지털·신산업, 문화·관광 등 주요 역점 사업이 포함됐다.
교통·물류 분야에서는 가덕도신공항 건설 사업에 6890억원이 반영돼 적기 개항 기반을 마련했다. 도시철도 사상하단선(300억원), 하단녹산선(370억원)과 대저대교(70억원), 엄궁대교(320억원), 장낙대교(100억원) 등 서부산 교통망 개선 사업도 포함됐다.
금융·창업 분야에서는 북항 글로벌 창업허브(50억원), 블록체인 특화 클러스터(22억원), 그린스타트업 타운(65억원)이 반영돼 창업 중심지로의 도약에 힘이 실렸다.
디지털·신산업 분야에는 지역 주도형 인공지능(AI) 대전환 사업(70억원), 인공지능전환(AX) 기반 에이지테크 실증 거점 조성(30억원), 의료용 방사성동위원소 고부가가치화 기술개발(20억원), 해양·항만 AX 실증 센터 구축(3억6000만원) 등이 새롭게 포함됐다.
문화·관광 분야에서는 K-콘텐츠 기반 관광 생태계 고도화 지원(12억5000만원), 낙동선셋화명에코파크(16억6000만원), 아미산 낙조 관광 경관 명소화(8억1000만원), 수상워크웨이(35억원), 황령산 치유의 숲(18억원), UN평화기념관 별관(2억원), 영도 해양치유센터(20억원) 등 관광 경쟁력 강화 사업이 반영됐다.
또한 조선해양 미래혁신인재양성센터(111억원), 차세대 해양모빌리티 글로벌 혁신 특구 조성(18억원), 중소조선 함정 MRO(유지·보수·운영) 글로벌 경쟁력 강화 지원(49억원) 등 조선·해양산업 육성 기반도 확보됐다.
시는 앞으로 있을 국회 예산 심사 과정에서도 국비 반영 필요성을 적극 설명하고, 지역 국회의원과 협조 체계를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박 시장은 “정부와 긴밀히 협의한 결과 부산시 주요 사업이 상당 부분 반영됐다”며 “국회 심사 과정에서도 부산의 미래를 위한 예산 확보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