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취수원 갈등이 재연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구미시가 여전히 해평취수장 활용에 부정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기 때문이다.
31일 대구시 등에 따르면 정부가 대구 취수원 이전 문제(낙동강 취수원 다변화 사업) 해결을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 가운데 해평취수장 활용 방안이 다시 핵심으로 떠올랐다.
정부는 올해 안으로 낙동강 취수원 다변화 사업 결론을 내겠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이 사업을 추진함에 있어 난제 중 하나가 대구 취수원 이전 문제다. 정부는 해평취수장이 가장 효율적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2022년 당시 협정서가 여전히 유효한 지에 대해서도 살펴보고 있다.
1991년 ‘페놀’ 유출 등 잇따른 낙동강 수질오염 사고로 대구 취수원을 구미공단 위쪽 낙동강 상류로 옮겨야 한다는 여론이 형성됐다. 30여년 동안 구미공단 등에서 9차례나 낙동강 수질오염 사고가 발생했다. 하지만 대구시의 생각과 달리 구미시는 물 부족 등을 우려하며 강하게 반대했고 두 도시는 2009년부터 갈등을 빚었다. 우여곡절 끝에 2022년 4월 ‘맑은물 나눔과 상생발전 협정’(해평취수장 공동 이용)을 맺었지만 민선 8기 시작과 함께 구미시의 입장이 변했고 다시 갈등이 시작됐다. 이에 대구시는 안동댐 물 공급으로 방향을 돌렸다.
바뀐 정부는 원점 재검토 방침을 세웠다. 대구시는 안동댐 물 이용안과 해평취수장안 모두 검토 대상으로 삼겠다고 밝혔지만 사실상 정부 방침에 따르겠다는 뜻으로 비춰진다. 경북도 역시 빨리 추진할 수 있는 방안부터 우선 추진해야 한다는 방침이다.
반면 구미시는 여전히 해평취수장 활용에 부정적이다.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8월 초 경북 안동댐과 구미 해평취수장 등을 방문했을 때도 구미시는 해평취수장 보다는 더 상류인 구미보 인근 이전이 좋다는 입장을 피력했고 이후에도 이 입장을 유지 중이다.
김장호 구미시장은 최근 한 토론회에서 “대구시장이 부재중인 만큼 취수원 문제는 대구시장이 새로 취임한 이후에 본격적으로 논의가 돼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구미보 인근이 물의 양도 많고 제일 안전한 지역이 아닌가 생각한다”고 말했다.
지역에서는 오랜 갈등의 원인이 된 구미시의 해평취수장 활용 불가 입장이 여전해 중재안 마련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