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포항시가 28일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됐다. 지정 기간은 2027년 8월 27일까지 2년간이다.
경북도와 포항시에 따르면 이날 산업부는 산업위기대응 심의위원회를 거쳐 포항시와 충남 서산시를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한다고 공고했다.
글로벌 철강 과잉 공급과 미국의 관세 부과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지역 철강산업의 위기 대응과 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다. 올해 전남 여수시 석유화학 지정에 이어 2번째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 지정이다.
도와 시는 지역 철강산업 위기 극복 및 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해 지난달 18일 산업부에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 지정을 신청했다.
산업부는 신청서 검토와 함께 지난 5일 합동실사단 포항 현지 실사, 관계부처 및 지자체 협의, 25~27일 진행된 산업위기대응 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 지정 결정을 내렸다.
포항 철강산업은 지속적인 중국산 저가 철강재의 국내 유입과 건설투자 장기 침체, 미국의 철강 관세 50% 부과 등 대내외 충격이 겹치면서 그 어느 때보다 심각한 상황이다.
주요 철강기업 영업이익이 지난해보다 30% 이상 대폭 감소하고 지난해 7월 포스코 포항제철소 1제강공장 폐쇄, 같은 해 12월 1선재공장 폐쇄에 이어 올해 6월에는 현대제철 포항 2공장이 전면 휴업에 들어가는 등 지역 철강산업은 전례 없는 위기를 맞고 있다.
정부는 이번 지정에 따라 긴급경영안정자금과 지방투자촉진보조금 우대, 중소기업에 대한 정책금융지원을 강화한다.
정책금융기관은 중소기업에 만기 연장과 상환 유예를 지원하고, 신용보증기금·기술보증기금은 협력업체와 소상공인을 위한 우대보증 지원프로그램을 출시한다. 고의·중과실이 없는 경우 담당자 면책도 적용된다.
또 이번 2차 추경으로 신설된 ‘지역산업위기대응 사업’을 통해 기업 대출 부담 완화를 위한 이차보전과 함께 맞춤형 기업 경쟁력 강화 지원(기업지원·인력양성)도 추진할 계획이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 지정은 포항시와 지역사회, 국회, 시의회, 경상북도, 지역 기업이 함께 산업위기를 극복하고자 하는 염원이 결실을 맺은 것”이라며 “생존의 기로에 선 철강산업의 위기를 새로운 도약의 기회로 삼아 지역경제 재도약을 반드시 이끌어 내겠다”고 말했다.
포항=안창한 기자 chang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