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1호 국가도시공원 지정을 둘러싼 경쟁이 본격화한 가운데 부산시가 낙동강 하구를 앞세워 선점에 나섰다. 최근 지정 요건을 완화하는 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하면서 전국 지자체의 도전이 예상되자, 부산은 수도권 전문가까지 참여시키며 전국적 공감대 확보에 속도를 내고 있다.
부산시는 28일 서울 ‘환경과조경’ 사옥에서 환경·조경 분야 전문가 자문회의를 열고 낙동강 하구 국가도시공원 지정 방안을 논의했다. 회의에는 안승홍 국가도시공원특별위원회 위원장(한경대 교수)을 비롯해 서울대·성균관대·서울시립대·경희대 교수와 조경 분야 실무자 등 8명이 참석해 지정 기준과 활성화 전략을 검토했다.
이달 초 국회를 통과한 공원녹지법 개정안은 국가도시공원 지정 요건을 크게 완화했다. 면적 기준은 기존 300만㎡ 이상에서 100만㎡ 이상으로 낮아졌고, 지정 절차도 국무회의가 아닌 중앙도시공원위원회 심의로 간소화됐다. 또 중기지방재정계획에 5년 내 부지 소유권 확보 계획만 담으면 지정할 수 있어 전국 지자체의 경쟁이 치열해질 전망이다. 개정안은 내년 하반기 시행된다.
시는 법 시행 전부터 선제적으로 준비해 주도권을 쥔다는 방침이다. 낙동강 하구는 국내 최대 철새도래지이자 종 다양성이 가장 높은 지역으로, 우리나라에서 유일한 만입 삼각주를 이루는 등 자연·역사·문화적 가치가 뛰어나다. 480여 종의 식물이 분포해 학술·교육적 가치도 크며, 새 정부 국정과제인 ‘4대강 재자연화 및 생물다양성 회복’과도 맞닿아 있어 국가 차원의 보전 명분이 충분하다.
시는 지난해 범시민 추진본부를 발족한 뒤 심포지엄·토론회·워크숍 등을 통해 시민 주도 논의를 이어왔다. 이번 수도권 전문가 자문회의를 시작으로 세부 기준과 활성화 전략 마련 등 논의를 본격화할 예정이다.
안철수 시 푸른도시국장은 “낙동강 하구 국가도시공원은 자연 보전과 공원 이용이 균형을 이루는 지속 가능한 모델이 될 것”이라며 “수도권 학계와의 협력으로 관심을 전국으로 확산해 국내 1호 국가도시공원 지정에서 주도권을 확보하겠다”고 말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