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년째 적자라도 확장 정책 계속… 오픈AI의 ‘1위 유지’ 전략

입력 2025-08-28 09:46 수정 2025-08-28 10:45
샘 알트만 오픈AI 최고경영자. 뉴시스

오픈AI의 글로벌 확장 전략이 계속되고 있다. 영국 정부와 논의를 통해 전 국민에 챗GPT를 제공하는 방안을 세우고, 인도에는 처음으로 저가형 유료 요금제를 출시했다. 미국 정부 기관에는 기업용 서비스를 사실상 무료로 제공하기로 한 상태다. 챗GPT 출시 이래 수년 간 적자를 벗어난 적이 없음에도 무료 혹은 저가 정책을 고수하고 있는 것이다. 구글의 ‘제미나이’ 등 생성형 AI 시장 경쟁이 치열해지는 상황에서 ‘시장 1위’ 유지를 최우선 목표로 둔 확장 정책이라는 해석이 유력하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최근 영국 정부가 전 국민을 대상으로 챗GPT 유료 버전인 ‘플러스’ 모델 제공을 검토했다고 보도했다.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와 피터 카일 영국 기술장관은 지난달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만나 이같은 내용을 다룬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해당 계획 실현에는 막대한 재원이 필요하기 때문에 영국 정부는 관련 부처와 별도의 논의는 진행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오픈AI 대변인은 이와 관련해 “영국 정부와 협력은 국민이 AI를 더 쉽게 활용하고, 이를 통해 경제적 기회를 확대하는 데 목적이 있다”고 말했다.

인도에서는 이달 월 399루피(약 6400원)의 저가형 유료 요금제 ‘챗GPT 고(GO)’가 출시됐다. 기존에 가장 저렴했던 플러스 요금제(월 23달러)와 비교해도 5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 오픈AI가 국가별 차등 요금제를 적용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샘 올트먼 CEO는 최근 한 팟캐스트에서 인도가 오픈AI의 두 번째로 큰 시장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챗GPT가 범용 서비스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공을 들일 수밖에 없는 지역인 것이다.

미국 연방 정부에는 챗GPT ‘엔터프라이즈 버전’을 앞으로 1년 동안 1달러로, 사실상 공짜로 제공하는 계획을 밝혔다. 엔터프라이즈 버전은 기업용 유료 제품이다. 일반 사용자용 챗GPT보다 뛰어난 성능에 보안도 강화됐다. 오픈AI 측은 “정부의 업무 효율을 높이고 공공 서비스 속도를 개선하는 것은 AI의 사회적 가치를 확산하는 핵심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파격적인 가격 정책을 내세워 공공 부문 AI 침투를 가속화한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이처럼 챗GPT로 별다른 이득을 내지 못하는 상황에서도 오픈AI는 ‘성장’을 제1목표로 사용자 수를 늘리는 데 집중하고 있다. 2022년 11월 서비스 출시 5일 만에 100만을 달성한 챗GPT 글로벌 주간활성사용자수(WAU)는 이달 기준으로 7억명을 돌파했다. 반면 지난해에도 적자 규모가 약 50억 달러에 달한 것으로 추정됐다.

이에 대해 국내 한 IT 업계 관계자는 “강력한 경쟁자인 구글 제미나이도 미국 정부에 단돈 ‘47센트’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치고 올라오는 상황”이라며 “당장은 적자에서 벗어날 수 없어도 세계 시장에서 ‘1등 AI’를 수성하는 게 장기적으로 유리하다고 판단한 듯 하다”고 분석했다.

박선영 기자 pomm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