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 백석업무빌딩 ‘벤처타운+공공청사’ 활용 전환

입력 2025-08-27 21:17
고양시청사 전경. 고양시 제공

경기 고양시는 답보 상태였던 시청사 백석업무빌딩 활용 방안을 전환해 벤처타운과 공공청사로 조성하는 새로운 계획을 추진한다고 27일 밝혔다.

당초 시는 시청의 모든 부서를 입주키로 했지만 경기도가 고양시의회와 협의가 안됐다는 이유로 3회에 걸쳐 투자심사를 보완 및 반려 조치함에 따라 의회의 요구대로 백석 업무빌딩에 절반 이상을 벤처기업으로 입주시키고 나머지 공간에만 시청 부서의 일부를 이전키로 기본 방침을 변경했다.

시는 이번 방침을 통해 ▲청사 임차 예산 절감 ▲유망 벤처기업 육성 ▲덕양·일산 균형발전이라는 세 가지 정책 성과를 동시에 달성하겠다는 방침이다.

시는 지난 7월 14일 경기도에 제출한 ‘백석업무빌딩 활용 투자심사’에서 전체 면적의 절반을 벤처기업 집적타운으로 조성하고 나머지는 분산돼 임차 중인 37개 부서를 이전해 공공청사로 활용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이는 2018년 시의회가 공유재산관리계획에서 명시한 ‘백석 업무빌딩을 벤처타운 및 공공청사 등 공공 목적으로 활용’ 방안을 반영한 것으로, 고양시는 “시의회 의견과 정책적 효과를 종합적으로 담은 최적 해답”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재정 절감 효과가 크다. 현재 고양시는 주교동 청사를 제외한 다수 부서를 민간건물에 임차하고 있으며, 매년 13억원 이상의 임대료를 지출하고 있다.

여기에 백석업무빌딩 장기간 방치로 매월 3000만원 이상의 관리비가 추가 투입되는 상황이다. 시 관계자는 “백석으로 부서를 이전하면 매년 수십억원의 예산을 아낄 수 있어 시민 세금 절감에 직접적으로 기여한다”고 강조했다.
백석 업무빌딩 전경. 고양시 제공

지역 산업 생태계 확충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고양시는 이미 일부 벤처기업과 협의를 진행하며 입주에 좋은 성과를 내고 있다.

시 관계자는 “백석 빌딩을 벤처기업 집적시설로 활용하면 판교테크노밸리를 잇는 서북부 벤처 거점이 될 수 있다”며 “청년 창업, 일자리 창출, 지역 기업 성장이라는 연쇄 효과가 뒤따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지난 대선에서도 현 이재명 대통령도 백석동 벤처집적타운 조성을 공약한 바 있다. 이에 시는 투자심사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벤처기업 유치 또한 무산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고양시는 시장·부시장·기조실·자치행정국 등 핵심 부서는 주교동 청사에 유지하면서 외부 민간 건물에 임대해 있는 부서와 벤처기업을 백석으로 유치해 덕양과 일산의 공간적 격차를 완화한다는 구상이다.

시는 이를 통해 지역 내부 균형발전을 도모하면서도, 외부 기업 유치로 자족 기능을 강화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다만 이러한 계획이 현실화되기 위해서는 건물 구조보강, 전기·통신 설비 증설, 편의시설 확충 등 대규모 시설 개선이 선행돼야 한다. 이에 따라 경기도의 투자심사 통과는 필수다.

시 관계자는 “투자심사에서 더 이상 지연이 발생하면 설계와 공사 기간을 고려할 때 벤처기업 유치 기회 자체가 무산될 수 있다”며 “이번 결정은 단순한 건물 활용 문제가 아니라 고양시 미래를 여는 투자”라고 강조했다.

이어 “백석업무빌딩은 단순한 청사 이전이 아니라 고양시민의 예산 절감, 지역산업 육성, 균형발전을 동시에 이끌 ‘미래 핵심 자산’”이라며 “경기도·고양시의회의 대승적 결단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고양=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