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인도에 50% ‘관세 폭탄’ 발효…모디, ‘자급자족’ 대응

입력 2025-08-27 14:48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과 모디 인도 총리. AF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러시아산 원유 수입 등을 이유로 인도산 제품에 적용한 보복성 50% 관세가 27일(현지시간)부터 부과되기 시작했다.

외신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 동부 표준시 기준 이날 오전 0시1분(한국시간 27일 오후 1시 1분, 인도 표준시 기준 27일 오전 9시31분)부터 인도산 제품에 50% 관세를 부과했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25일 이 같은 내용의 초안을 공고한 바 있다.

미국 국토안보부는 공고문에서 “27일 오전 0시 1분 이후 소비 목적으로 수입하거나 (보세) 창고에서 출고되는 인도산 제품에 (50%) 관세가 부과된다”고 밝혔다.

다만 인도적 지원 물품과 상호 교역 프로그램 대상 품목 등에는 50% 관세가 적용되지 않는다.

미국은 지난 4월 인도에 국가별 관세(상호관세) 26%를 부과했고, 이후 양국은 5차례 협상했다.

그러나 미국산 농산물 등에 부과하는 관세 인하와 러시아산 원유 구매를 인도가 중단하는 문제를 놓고 양국이 이견을 보여 결국 합의하지 못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인도와 러시아의 석유 거래를 강하게 비판하면서 기존보다 1% 낮춘 상호관세 25%에 보복성으로 25%를 더한 총 50% 관세를 인도산 제품에 부과하겠다고 예고했다.

인도는 이번 관세를 “부당하고 정당하지 않으며 불합리하다”면서 “인도의 국가 이익과 에너지 안보를 확보하기 위한 정당한 행동에 대한 처벌”이라고 멩비난했다. 다만 보복 관세는 부과하지 않기로 했다.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26일 국민에게 ‘인도에서 생산하고 인도에서 지출하라’며 ‘자급자족(스와데시 운동)’을 당부했다.

모디 총리는 “우리 모두 ‘인도산’ 제품만 구매하라는 모토를 따라야 한다”면서 상점 주인들에게 국산 제품을 홍보하는 대형 간판을 설치하도록 독려했다. 모디 총리는 “관세로 우리에게 가해지는 압력이 커질 수 있지만 우리는 감당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구정하 기자 g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