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세 미만의 젊은 당뇨 환자가 급증하고 있다. 주로 비만과 관련이 있는 2형 당뇨병의 유병률이 국내 30세 미만 젊은층에서 13년 새 4배 가까이 올랐다.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은 연구원의 지원을 받은 김재현 분당서울대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팀이 2008~2021년 30세 미만 당뇨 환자 13만명의 국민건강보험공단 청구 자료를 분석해 이런 결과를 도출했다고 26일 밝혔다.
연구원에 따르면 최근 세계적으로 청소년과 젊은 성인 사이에서 2형 당뇨병 환자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과거 소아·청소년에게서는 1형 당뇨병이 주로 발견됐던 것과 대조적이다.
1형 당뇨병은 자가면역 이상으로 췌장에서 인슐린이 분비되지 않아 혈당 조절에 어려움을 겪는 질환이다. 주로 소아·청소년기에 발병해 ‘소아당뇨’로도 불린다.
2형 당뇨병은 주로 비만과 관련한 인슐린 저항성과 분비 부족으로 발생한다.
연구 결과 30세 미만의 2형 당뇨병 환자 유병률은 2008년 인구 10만명당 73.3명에서 2021년 270.4명으로 3.7배가 됐다. 1형 당뇨병 유병률도 같은 기간 인구 10만명당 21.8명에서 46.4명으로 2.1배 증가했다.
환자 발생률(새롭게 당뇨병에 걸린 사람의 비율)은 2형 당뇨병의 경우 인구 10만명당 27.6명에서 60.5병으로 2.2배 늘었다. 1형 당뇨병은 3.0명에서 3.8명으로 소폭 증가했다.
성별에 따른 유병률은 1형 당뇨병의 경우 여성에서 26% 더 많았다. 2형 당뇨병은 남성에서 17% 더 많이 확인됐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1형 당뇨병 유병률은 영유아기(0~5세)에서, 2형은 청소년기(13~18세)에서 가장 큰 증가폭을 나타냈다.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른 차이도 확인됐다. 저소득층(의료급여 수급자)은 1형 당뇨병에 걸릴 확률이 중·고소득층(건강보험 가입자)보다 2.9배 높았다. 2형 당뇨병 환자도 3.7배 더 많았다.
이번 연구는 국내 최장기간·최대 규모 데이터 연구로, 국제 학술지인 대한의학회지(JKMS)에 실렸다.
박은주 기자 wn1247@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