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은 한·일 정상회담에 대해 “워싱턴의 ‘오해’를 덜어보려는 서울의 불안 심리가 빚어낸 하나의 외교 촌극”이라며 “백악관 나들이 때 있을 수 있는 외교 참사도 피해 볼 작정으로 급기야 자발적인 친일 검증 행각 길에 오른 것”이라고 비난했다.
다만 이재명 대통령 실명을 언급하는 등 대남 비난에 집중하면서도 당국자 성명이나 담화가 아닌 개인 명의의 기고문 형식으로 수위를 조절했다는 해석이 나온다.
조선중앙통신은 25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3각군사공조실현의 척후로 나선 서울 위정자의 추태’라는 제목의 ‘김혁남’ 개인 필명의 글을 전했다.
기고문은 한·일 정상이 한·미·일 협력을 강화하기로 한 것을 두고 “곧 만나게 될 백악관 주인을 향한 구애의 메시지”라고 폄하했다.
특히 이례적으로 취임 후 첫 정상회담 국가로 미국이 아닌 일본을 택한 이재명 대통령을 실명 비난하며 이를 ‘친일 행위’라고 깎아내렸다.
이어 “리재명이 야당 대표 시절 민심 유혹을 위해 내뱉곤 하던 ‘대일 강경’ 발언으로 얻어쓴 ‘반일’ 감투 때문에 집권 이후 일본 내부의 싸늘한 시선은 물론 미국의 냉대와 압박을 받아온 것은 잘 알려져 있다”고 비꼬았다.
또 “친미사대외교의 전통까지 무시한 듯한 이번 도꾜 행각의 배경에는 바로 현 집권자에 대한 미국의 불신과 그로 인한 하수인의 번민이 얽혀 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문제는 앞으로 친일 신조를 행동적으로 증명하려는 이 서울 위정자의 과잉욕구가 지역의 안보위기를 한층 고조시킬 것”이라고 지적했다.
박민지 기자 pm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