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대통령 “친중·혐중이 어딨나…도움 되면 가까이, 안되면 멀리하는 것”

입력 2025-08-25 09:00 수정 2025-08-25 09:00
취임 후 처음 미국을 방문한 이재명 대통령과 김혜경 여사가 24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인근 앤드루스 합동기지에서 도착해 공군1호기에서 내려 기지를 빠져나가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한·미 정치권 일각에서 제기하는 ‘친중 논란’에 대해 정면 반박했다.

이 대통령은 24일(현지시간) 일본 도쿄에서 미국 워싱턴DC로 가는 공군 1호기 안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외교에 친중, 혐중이 어딨냐”면서 “대한민국 국익에 도움이 되면 가까이하고, 도움이 안 되면 멀리하는 것이다. 가깝거나 먼 것도 외교적 수단 중 하나”라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우리 외교의 근간은 한·미동맹”이라며 “우리가 자본주의 시장경제 체제이기 때문에 이 가치와 질서, 시스템을 함께 하는 쪽과의 연합과 협력이 당연히 중요하기 때문에 한·미·일 안보 경제 협력이 당연히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그렇다고 해서 중국과 절연할 것인가. 절연하고 살 수 있나. 또 그러면 절연 안 하는 걸 친중이라고 한다면, 그런 의미의 친중이라면 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외교·안보는 대한민국을 위해 실용적으로 접근해야 한다”며 “어느 국가와 관계를 좋게 하기 위해 어느 국가를 완전히 배제하거나 절연해 적대적 관계로 전환할 필요는 없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외교) 근간은 한·미동맹이고, 한·미·일 협력이 중요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다른 중요한 국가의 관계를 단절하거나 적대화 해서는 안 된다”며 “그 기준선은 그야말로 국익이고, 판단의 기준은 우리 국민의 삶의 조건이 되지 않겠냐”고 반문했다.

이어 “친중, 친북, 친러, 잘하면 친공, 공산주의 나올지도 모르겠는데, 그런 데 너무 연연하지 않으려고 한다”며 “대한민국은 특정 몇몇 국가와만 이야기해서는 살 수 없는 나라”라고 말했다.

워싱턴=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