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특례시, 4개 일반구 설치 ‘쾌거’…정명근 시장 “새로운 화성시대 출발점”

입력 2025-08-23 16:27 수정 2025-08-23 16:34

경기도 화성특례시는 전날 행정안전부 승인을 통해 4개 일반구 설치가 확정됐다고 23일 밝혔다.

이는 지난 2010년 일반구 설치 기준인 인구 50만명을 달성한 이후 15년 만에 이룬 쾌거다.

일반구는 행정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상위 행정기관인 시에 소속되어 행정업무를 수행하는 행정기구다.

정명근 시장은 “이번 일반구 설치는 새로운 화성시대의 출발점으로, 시민과 가까운 곳에서 맞춤형 행정을 펼칠 수 있는 계기”라며 “시민과 더 가까이에서 따뜻하고 다채로운 행정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행정체제 개편을 철저히 준비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이번 일반구 출범으로 화성시민은 생활권 내 30분 내에서 세무, 인·허가, 복지, 민원 등 주요 행정업무를 구청에서 직접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또 지역 특성에 맞는 행정과 생활밀착형 예산, 현장 중심 민원서비스 강화로 더 빠르고 편리한 행정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시는 서부생활권을 담당하는 만세구(우정·향남·남양읍, 마도·송산·서신·팔탄·장안·양감면·새솔동), 중부생활권의 효행구(봉담읍, 비봉·매송·정남면, 기배동), 동부생활권의 병점구(진안·병점1·병점2·반월·화산동)와 동탄구(동탄1~9동)로 구분될 예정이다.

구별 특성에 맞춘 맞춤형 행정도 추진된다. 각 구의 비전은 만세구의 경우 ‘풍요로운 자연과 산업자원이 어우러진 융복합 혁신도시’, 효행구는 ‘모두가 누리는 교육중심의 자연친화적 정주도시’, 병점구는 ‘역사와 첨단기술이 만나는 사람중심의 성장도시’, 동탄구는 ‘도시와 자연이 공존하며 4차산업을 선도하는 미래산업 경제도시’로 비전이 설정됐다.

정명근 시장은 행정안전부 승인 직후인 22일 저녁 동탄출장소에서 긴급대책회의를 열고 향후 구 청사 설치, 조례 등 법령 정비, 조직·인사, 시민 혜택 사업 발굴 등 일반구 설치 추진 상황을 점검했다.

시는 이미 만반의 준비를 갖춰온 만큼 남은 절차까지 빈틈없이 챙겨 2026년 2월 구청 출범을 완벽하게 마무리한다는 방침이다.

화성특례시는 2001년 시로 승격한 이후 급격한 성장을 이어왔으며, 2010년에는 인구 50만명을 돌파해 일반구 설치 요건을 충족했다.

하지만 행정체제 개편 시도가 무산되면서 시민들의 불편이 지속돼 왔다.

이에 시는 민선8기 ‘정명근호’ 출범 이후 일반구 설치를 시정의 우선과제로 설정하고 본격적인 추진에 나섰다.

2022년에는 지방행정연구원, 2024년에는 한국행정학회와 함께 연구용역을 실시했으며, 권역별 시민설명회와 여론조사, 구 명칭 공모·심의위원회, 정책광장 투표 등을 통해 폭넓게 시민 의견을 수렴했다.

이어 화성시의회 의결을 거쳐 4개 구 신설안을 마련하고 지난해 11월 행정안전부에 정식 건의서를 제출했다.

또 시는 7월 대통령직속 국정기획위원회와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등 관계기관을 직접 찾아 일반구 설치의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건의해왔다.

이재명 국민주권정부가 출범과 함께 자치분권 강화 기조와 맞물려 이번에 마침내 4개 일반구 설치를 성취한 것이다.

정명근 시장은 “4개 일반구 승인으로 105만 화성특례시민의 오랜 염원을 실현한 것으로 출범 3개월도 되지 않은 짧은 시간에 화성의 특성과 가능성을 이해하고 결단을 내려주신 이재명 정부에 깊이 감사드린다”면서 “구청 개청을 통해 30분 생활권 시대를 열어 시민과 가까운 곳에서 따뜻한 행정을 펼치고 생활권 특성에 맞는 맞춤형 정책으로 문화·산업·생활 전반의 매력을 높이겠다”고 말했다.

화성=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