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관계가 ‘적대적 두 국가론’으로 경색된 분위기가 이어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한국교회가 분단 극복의 전초기지 역할에 나서며 통일 선교의 새로운 돌파구를 모색하고 있다.
기독교대한감리회(기감·감독회장 김정석 목사) 선교국과 감리교통일선교 신학연구소는 21일 경기도 고양 일산광림교회(박동찬 목사)에서 ‘한국감리교와 DMZ’ 포럼을 열고 한반도 평화통일을 위한 교회의 역할과 책임을 재조명했다. 포럼은 선교 140주년을 기념해 강화도 교동에 건립 중인 ‘평화통일 기도의 집’ 완공을 앞두고 마련됐다.
기감 “DMZ는 감리교회의 땅…교회 회복 앞장서야”
포럼에 앞선 예배에서 박동찬 일산광림교회 목사는 ‘십자가의 능력’을 주제로 설교하며 현실적 어려움 속에서도 통일에 대한 희망을 포기하지 말 것을 당부했다.
박 목사는 “한반도 평화통일을 위해 기도할수록 상황이 나아져야 하는데 오히려 더 멀어지는 것처럼 느껴져 실망하는 성도들도 계실 것”이라고 짚었다. 그러면서 “(상황을 보면) 실망스럽고 낙심이 되지만 이럴 때일수록 믿음의 사람들이 하나님이 역사하시는 것을 봐야 한다”며 “남북관계의 해답은 결국 십자가”라고 강조했다.
그는 “남한교회의 사명은 십자가 사랑의 희생으로 북한을 대해야 한다”며 “하나님이 가로막힌 38선 안에서도 능히 역사하고 일하실 것”이라고 강조했다.
유관지 북녘교회연구원장은 ‘DMZ는 감리교회의 땅입니다’라는 제목의 발제를 통해 감리교회와 분단지역의 역사적 연관성을 강조했다.
유 원장은 “1909년 선교 지역 분할협정에 따라 비무장지대(DMZ) 일원은 미감리회와 남감리교회의 선교구역이 됐다”며 “1938년 기준으로 전체 감리교회의 47%가 북한지역에 있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감리교회는 이 지역의 교회 회복과 재건에 앞장서야 한다”며 DMZ 탐방기도회 활성화와 관련 책자 발간, 김화읍교회 복원 등을 제안했다.
최태관 감리교신학대 교수는 ‘독일의 통일 과정에서 본 동·서독 교회의 책임과 역할’을 주제로 한국교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했다.
최 교수는 “서독교회는 동독교회를 외면하지 않고 재정적 지원과 함께 교회의 본질을 잃지 않도록 도왔다”며 “1989년 동독교회의 월요 평화기도회가 베를린 장벽 붕괴로 이어지는 결정적 역할을 했다”고 설명했다. 최 교수도 한국교회의 과제로 DMZ를 중심으로 한 평화기도회를 비롯해 분단의 땅을 평화지대로 만드는 노력, 젊은 세대의 통일 의식 제고 등을 제시했다.
기장 “상호주의 패러다임 벗어나 선제적 평화조치 나서야”
같은 날 한국기독교장로회(기장·총회장 박상규 목사)는 변화하는 국제질서 속에서 한국교회의 평화운동 과제를 진단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기장은 21일 서울 종로구 한국기독교회관에서 ‘한반도 평화통일 선교의 새로운 길’을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분단과 냉전체제, 최근 신냉전과 다극화 국제질서 속에서 한반도 평화의 현실과 가능성을 진단하고 한국교회의 평화운동 과제를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변화하는 국제질서와 한반도 평화’를 주제로 발제한 김동엽 북한대학원대 교수는 “지금은 북한의 행동에 맞춰 움직이는 상호주의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우리가 선제적으로 평화적 조치를 취해 나가야 한다”며 “남북관계가 단기간에 풀리기 어려운 상황이지만 작은 노력이 쌓일 때 평화의 이야기가 형성되고 진정한 변화의 기반이 마련된다”고 말했다.
한반도 평화 구축을 위한 실천적 조치로 남북 군사합의 이행 및 긴장 완화 조치, 대북 전단 살포·확성기 방송 중단 등 접경지역 주민 안전을 중심에 둔 정책 등이 제시됐다. 김 교수는 “평화정책은 북한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우리 국민의 안전과 행복을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정부가 단기 성과주의에 매몰되기보다 국민과 함께 긴 호흡으로 평화 전략을 만들어가야 한다”며 “국민적 합의와 신뢰를 토대로 지속 가능한 평화통일의 길을 모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고양=김아영 김동규 기자 sing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