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는 폭염이 지속되면서 조류경보 ‘관심’ 단계가 발령 중인 낙동강 칠서와 물금·매리 지점에 조류 발생 정도가 본격적으로 심화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비상대응 체계에 돌입한다고 21일 밝혔다.
현재 낙동강 물금·매리 지점은 조류경보 ‘경계’ 단계 발령 기준인 유해남조류 1만세포수를 1회 초과한 상황이다. 폭염 등의 영향으로 지난 18일 채수한 조류 검사 결과도 초과가 예상돼 ‘경계’ 단계가 발령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20일 2개 보 구간(합천창녕보, 창녕함안보) 및 주요 지류에 대한 도 자체 녹조 발생 육안 점검에서도 수면에 녹조 띠가 관찰되는 등 다수의 뭉친 녹조 알갱이가 발견됐다.
도는 비상대응으로 낙동강 녹조제거선 집중 배치 및 적기 운영, 댐·보·하굿둑 연계 운영을 통한 신속한 녹조 저감, 녹조 원인물질 총인(T-P) 배출 총력 저감, 먹는물 안전성 감시 강화에 주력한다.
먼저 낙동강 경남도 지역에 지난달 말 배치된 대형 녹조제거선을 신속하게 운영해 녹조 확산 방지에 나선다. 합천창녕보 1대, 칠서취수장 2대, 창녕함안보 2대, 물금·매리 2대를 한국수자원공사가 운영한다.
또 녹조 발생 주요 요인인 총인 배출 저감을 위해 도 녹조 대응 행동 요령에 따라 수질오염물질 배출시설에 대한 특별점검을 ‘경계’ 단계 수준으로 확대한다. 총인을 하천으로 직접 배출하는 공장과 대형 가축분뇨배출업소 및 개인하수처리시설 267곳에 매주 1회 집중 반복 점검을 한다.
하수처리장 방류수는 시설설치 상황 등에 따라 총인(T-P) 방류농도를 법적기준보다 최대 80% 강화하는 비상저감 조치를 하고 환경부는 감축에 필요한 약품비 등을 지원한다.
안전한 수돗물 공급을 위해서는 낙동강 본류가 상수원인 정수장의 고도정수처리시설 운영을 점검하고, 조류독소와 냄새물질에 대한 검사주기도 법적기준 보다 강화한다.
구승효 경남도 수질관리과장은 “조류경보 해제 시까지 녹조로부터 안전한 수돗물을 공급하기 위해 지자체가 할 수 있는 모든 역량을 총동원해 안심할 수 있는 물환경을 조성하겠다”고 말했다.
창원=이임태 기자 si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