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세계기록유산’ 4·3기록물 보존 작업 본격화

입력 2025-08-20 11:07 수정 2025-08-20 13:46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된 제주4·3기록물 중 형무소에서 온 엽서의 일부. 제주도 제공

제주4·3기록물 보존 작업이 본격화된다.

제주도와 제주4·3평화재단은 지난 4월 4·3기록물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된 데 따른 후속 조치로, 국가기록원과 보존 처리 및 디지털 복원 작업을 시작했다고 20일 밝혔다.

제주4·3기록물은 희생자와 유족의 증언과 진상 규명 과정, 화해와 상생의 기록 등을 담은 자료로 총 1만4673점에 달한다. 상당수가 종이·영상·자기테이프 등 손상 위험이 큰 매체이고, 일부 기록물은 생산된 지 50년 이상 경과해 변질 우려가 높은 상황이다.

도는 이달 국가기록원과 함께 잉크 번짐 등 훼손 위험이 높은 ‘형무소에서 온 엽서’ 25점의 상태를 점검하고, 해당 자료의 디지털 복원 방안을 논의했다. 4·3위원회 채록 영상 등 비디오테이프 3점에 대한 포맷 전환 등 보전 방안에 대해서도 협의를 마쳤다.

‘형무소에서 온 엽서’ 복원은 국가기록원이 외부 기관의 기록물에 대해 디지털 복원을 지원한 첫 사례다. 작업은 오는 9월 완료된다. 복원된 기록물은 향후 디지털 전시 등 전시콘텐츠로 활용할 예정이다.

희생자와 유족의 증언과 당시 피해 상황을 담은 도의회 4·3피해신고서는 훼손도가 높은 기록물을 중심으로 문화유산국민신탁 기부금을 활용해 보존 처리를 실시하고 있으며, 그 외 기록물은 연차별로 디지털화 작업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보존처리는 매체 특성과 훼손 상태를 고려해 진행된다. 종이류 기록물은 진공 상태에서 건조해 중성화하고, 필름류는 온도·습도·빛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중성 필름 삽입과 중성상자 보관 작업을 추진한다.

제주도는 제주4·3기록물을 체계적으로 보존하고 미래 세대에 전승하기 위해 4·3기록관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내년 예산안에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용역비 2억원이 반영된 상태다.

앞서 유네스코 집행이사회는 지난 4월 10일 프랑스 파리에서 회의를 열고, 제주4·3기록물을 세계기록유산으로 결정했다.

유네스코는 4·3기록물이 세계적 냉전의 전개 과정을 집약적으로 보여주고, 당시 시대상과 피해 등을 고스란히 담고 있어 가치가 높다고 평가했다.

김인영 제주도 특별자치행정국장은 “제주4·3기록물은 미래세대가 성찰해야 할 인류 보편의 역사 유산”이라며 “국가기록원과의 협력을 통해 기록물을 영구 보존하고, 대중의 접근성을 높여나가겠다”고 말했다.

제주=문정임 기자 moon112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