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관영매체가 한·미 조선업 협력에 대해 또 견제구를 날렸다. 한국이 미군을 위해 제조한 선박이 중국을 겨냥한 작전에 투입되면 곤란해질 것이라는 취지의 경고도 했다.
중국 관영 영문매체 글로벌타임스는 18일 논평을 내고 미국 상원의원들이 한국과 일본을 방문해 자국 조선업 강화를 위해 동맹국의 조선 기술과 생산능력을 활용할 방안을 모색한다는 AP통신의 보도를 인용해 이같이 전했다.
글로벌타임스는 “AP통신은 협의 대상이 비전투용 선박이라고 보도했지만, 이런 선박도 미 해군에 사용되면 넓게는 방위산업 일부로 간주할 수 있다”면서 “미국이 조선업 부흥을 위해 한국과 일본을 자국 방위산업에 통합시키려 한다. 이는 일차적으로 미국의 전략적·군사적 이익 증진을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복잡한 지정학적 환경을 고려하면 이런 상황은 미국이 주요 조선국인 한·일을 자국의 방어 체제에 끌어들이기 위한 전략 전술로 볼 수 있다”며 “미국은 한·일의 기술력과 자금을 이용해 전략적 군사 목표를 달성할 뿐 아니라 잠재적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한·일의 로고가 새겨진 선박이 제3국을 상대로 한 미군의 작전에 투입되면 두 나라는 곤란해질 것”이라며 “한국과 일본은 이 같은 시나리오를 경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아울러 “미국은 자국의 역량을 강화하려고 노력하지만 이런 접근 방식은 한·일의 이익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며 “한·일의 입장에서는 미국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자국의 인재·기술·자본을 미국 조선업의 성장으로 전환하는 것이 반드시 수익성 있는 사업은 아닐 수 있다”고 덧붙였다.
AP통신은 17일 미국의 태미 덕워스, 앤디 김 상원의원이 한국과 일본을 방문해 양국의 최대 조선업체 경영진들과 만난다고 보도했다. 이들은 미 해군을 위한 비전투용 선박 건조와 수리를 위해 한·일과 협력하는 방안을 모색 중이다.
글로벌타임스는 지난달 30일에도 한국 정부가 미국과 무역협상에서 제안한 한·미 조선협력 프로젝트 ‘마스가’(MASGA)에 대해 대미 종속 심화를 초래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매체는 당시 “한국이 미국에 제안한 수십억 달러 규모의 마스가 프로젝트는 한국이 기술력과 자본을 제공하는 대가로 관세 인하를 기대하는 고위험 거래”라며 “불확실한 보상과 장기적인 리스크를 수반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한국의 일부 인사는 미국과 협력이 한국 조선업체들에 글로벌 시장 점유율 확대 기회를 줄 수 있다고 보지만, 이런 협력은 한국이 미국의 이익에 점점 더 의존하거나 종속되는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베이징=송세영 특파원 sysoh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