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민생 안정과 경기 회복을 위해 1조 883억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안을 편성했다. 올해 기정예산 17조 6106억원 대비 6.2% 늘어난 규모다.
부산시는 지난 18일 ‘2025년 제3회 추경안’을 시의회에 제출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추경은 정부 2차 추경에 반영된 국고보조금과 기금 여유 재원, 지방채 발행분 등을 활용해 마련됐다. 시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역사랑상품권 인센티브 ▲청년·취약계층 복지 ▲대중교통 인프라 개선 등 분야에 중점 투자한다는 방침이다.
우선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업’에 9344억원을 투입한다. 정부 2차 추경으로 교부된 국비 8706억원에 시비 638억원을 매칭해 소비 쿠폰 지급을 지원, 지역경제 활력 회복을 꾀한다. 또 지역사랑상품권(동백전) 인센티브 보상금에 837억원을 추가 편성해 다음 달부터 캐시백률을 최대 13%까지 확대한다.
청년과 취약계층 지원에도 힘을 싣는다. ‘청년 월세 한시 특별지원 사업’에 104억원을 추가 반영해 지원 기간을 2년으로 늘리고, 발달장애인 주간 활동 서비스(49억원), 영유아 보육료(27억원)도 확대 지원한다. 대중교통 인프라 개선을 위해 도시철도 사상~하단 선 건설(100억원), 도시철도 무선통신망(LTE-R) 구축(82억원)에도 예산을 반영했다.
지역 현안에도 예산이 투입된다. 야간 아이돌보미 처우 개선비(1억원), 2026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부산 개최 준비(5억원), 2028 세계디자인수도(WDC) 범시민 홍보(5억원), 정규직 고용 유지·채용 인센티브 확대(6억원) 등이 포함됐다.
박형준 시장은 “한정된 재원 속에서도 신속한 경기 회복과 민생 안정에 실질적 도움이 되는 분야에 집중 투자했다”며 “이번 추경안이 지역경제 활력 회복의 마중물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