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지역 제조기업들이 연구·개발(R&D) 인재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가장 큰 원인은 낮은 임금 수준과 수도권으로의 인재 유출인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과 청년층의 기대 차이가 뚜렷해 구조적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부산상공회의소가 19일 지역 제조기업 200곳과 이공계 대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기업의 90%는 초임을 4000만원 미만으로 지급하는 반면 이공계 대학생의 31%는 4000만원 이상을 원한다고 답했다. 특히 초임을 3000만~3500만원으로 제시하는 기업이 절반에 달했지만, 같은 수준을 희망한 학생은 34%에 그쳤다.
기업 절반 이상(53.5%)은 현재 인력 수급을 ‘적정’하다고 평가했으나 정부의 R&D 예산 확대와 업황 개선으로 투자 수요가 늘면 인력 부족이 불가피할 것으로 내다봤다. 채용 애로 요인으로는 ‘우수 인력 확보 어려움’(49.5%)이 가장 많았고 인건비 부담(22.2%), 조기 퇴사(14.5%) 순이었다. 실제로 지역 중소기업에 입사한 인력이 경력을 쌓은 뒤 대기업으로 이직하는 경우가 많아 인력 유지에 어려움이 큰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과 청년층의 인식 차이도 분명했다. 기업은 실무 경험과 전공 적합성, 산업현장 경험을 중시했지만, 학생들은 임금과 근무시간 준수, 유연근무제 등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을 우선시했다. 복리후생, 기업문화, 성장성 역시 학생들이 중시하는 요소로 나타나 기업의 채용 조건과 괴리를 보였다.
정부가 산학협력과 채용 연계 사업을 운영하고 있지만 단기 과제 위주라 실효성이 낮다는 지적도 뒤따랐다. 특히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연구개발 인프라 격차가 커 지역 맞춤형 인력 정책이 미흡하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됐다.
부산상의는 미스매치 해소를 위해 연구개발 인건비 지원 확대, 산학협력 과제 강화, 지역 인재 유출 방지책 마련 등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조사연구팀 관계자는 “현실 임금과 기대 임금의 간극을 줄이고 산학협력을 통한 채용 연계를 강화해야 한다”며 “우수 인재가 수도권으로 빠져나가지 않고 지역에 정착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