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이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를 활용한 개화·결실 및 종자 생산량 예측 시스템’ 개발을 추진한다고 19일 밝혔다.
5년간 진행되는 이번 연구사업은 기후변화에 따른 개화·결실 시기 변화, 종자 품질 저하, 임업 인력 감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마련됐다. 드론 원격탐사와 디지털 영상 분석, AI 예측 알고리즘 등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을 종자 생산 관리에 접목하는 것이 목표다.
기존 표본목 조사와 추정식 활용은 기상 변화로 인한 예측 오차가 컸지만, 이 시스템이 도입되면 개체별·시기별 실측 데이터와 예측 모델 적용이 가능해 정확도가 크게 향상될 전망이다.
또 자동 비행 드론 활용으로 조사 인력·비용을 줄이고 신속하게 현장 정보를 수집할 수 있게 된다.
구자정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명정보연구과 박사는 “산림종자 채취와 생산량 예측의 정확성을 높이고, 기후변화 대응과 안정적인 종자 공급 기반을 마련하겠다”며 “산림 디지털 전환이 산림자원 관리의 새로운 표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