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 재자연화 기조…대구 금호강 르네상스 영향줄까

입력 2025-08-19 11:13 수정 2025-08-19 11:16
대구시 금호강 하천조성사업 조감도. 대구시 제공

정부가 4대강 자연성 회복을 국정 과제에 포함시키는 등 친환경 기조를 공식화하자 대규모 하천 개발을 진행 중인 대구시가 촉각을 곤두세우는 모습이다. 낙동강 지류인 금호강을 친수 공간으로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 중인 대구시는 정책 방향 변화 등을 살펴 적절한 대응책을 마련하겠다는 입장이다.

대구시는 민선8기 들어 ‘금호강 르네상스 프로젝트’를 핵심사업으로 추진 중이다. 이 사업은 금호강 물길을 따라 곳곳에 대구를 대표하는 친환경·문화 공간들을 조성하는 것이 핵심이다.

시는 이미 금호강 르네상스 선도 사업을 상당부분 진행한 상태다. 금호강 안심권역 일원을 친환경·문화 공간으로 바꾸는 ‘금호강 국가생태탐방로 조성사업’과 화원유원지, 달성습지와 지역 대표 건축물인 디아크를 연계해 랜드마크로 만드는 ‘디아크 문화관광 활성화사업’을 속도감 있게 추진했다. 금호강 동촌 일대 비오톱(생태서식공간)을 복원하고 야외 물놀이장, 음악분수, 샌드비치 등을 조성해 치수·생태·문화·관광이 어우러지는 명품 수변공간을 만드는 ‘금호강 하천조성사업’도 순항하고 있다.

시는 선도 사업 완료 후 하중도, 금호워터폴리스 일원 금호강 주요 거점 친수공간 조성과 거점 간 연계사업 등 본사업을 단계별로 추진해 대구를 글로벌 내륙수변도시로 바꿀 계획도 세워뒀다.

하지만 정부의 환경 정책에 변화가 생겨 사업 전반을 다시 점검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금호강 르네상스의 경우 사업 초기부터 지역 환경단체들의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시민단체들은 금호강 개발이 오히려 환경을 훼손한다며 4대강 사업에 빗대기도 했다. 개발 대 보존이라는 구도로 논란이 다시 발생할 여지도 있다.

시는 큰 틀의 변화는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지만 혹시 모를 상황을 대비해 다양한 대응책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선도 사업들이 마무리 단계고 남은 사업의 절반 정도가 홍수 예방 등을 위한 치수 사업이라 정부의 정책과도 통한다는 것이 시의 생각이다. 단 환경단체들의 입김이 강해지고 하천 개발에 부정적인 기류가 강화될 수 있기 때문에 대비도 필요하다고 했다.

대구시 관계자는 19일 “정부 정책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금호강 영향권인 경북과 힘을 모으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고 말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