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민 10명 중 8명 “폭염 위험” 인식…제도 안내 필요

입력 2025-08-19 10:04

경기도민 10명 중 8명은 폭염을 위험하다고 인식하면서도 절반가량은 정부의 폭염 대응 제도를 알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저소득층과 일용직 근로자 등 취약계층의 제도 인지율은 30% 수준에 머물러 맞춤형 교육과 정보 전달 강화가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이 지난 7월 30일부터 8월 1일까지 도내 성인 5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온라인 조사에 따르면, 폭염을 ‘매우 위험하다’(39.6%) 또는 ‘약간 위험하다’(40%)고 답한 응답자는 79.6%에 달했다.

연령별로는 20대(85.8%), 소득별로는 저소득층(87.7%), 신분별로는 미취업자(82.6%)가 특히 위험성을 높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고용노동부가 지난 7월부터 시행한 ‘폭염 대응 근무지침’의 인지율은 전체 응답자의 52%에 그쳤다. 특히 저소득층(31.5%), 고졸 이하 학력자(25.2%), 20대(23.4%), 일용직 근로자(34.5%)는 평균보다 20%포인트가량 낮아, 폭염 대응 제도에 대한 정보 접근성에서 뚜렷한 격차가 확인됐다.

폭염 피해 우선 지원이 필요한 계층으로는 옥외 근로자(76.4%), 노인층(67.8%), 저소득층(37%)이 꼽혔다. 일용직 근로자의 경우 옥외 근로자 지원 필요성을 89.7%로 응답해 전체 평균보다 크게 높았다.

오후석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장은 “폭염 피해를 줄이려면 계층별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제도 안내와 교육이 필요하다”며 “평생학습을 통해 기후위기 대응 역량을 높이고 취약계층의 정보 격차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경기도는 전국 최초로 ‘경기 기후보험’을 도입해 폭염·폭우 등 기후재해 피해를 보장하고 있다. 도민은 별도의 절차 없이 자동 가입되며, 피해 유형에 따라 10~50만원의 보험금을 받을 수 있다. 지난 8월 12일 기준 총 1362건의 보험금이 지급됐고, 이 가운데 276건은 온열질환 진단·입원비로 집계됐다. 보험 보장 내용과 신청 방법은 경기 기후보험 누리집 또는 콜센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의정부=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