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주한미군 반환공여구역 개발을 지역균형발전의 핵심 전략 과제로 제시하며, 중앙정부 의존을 넘어 주도적인 종합개발 로드맵 수립에 나섰다.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과제 의지와 김동연 지사의 실행력 결합 속에, 도는 교통·산업·문화 인프라를 망라한 맞춤형 경기도형 개발 모델을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
도는 지난 14일 경기도청 북부청사에서 ‘주한미군 반환공여구역 개발 활성화 전담조직(TF)’ 제1차 회의를 열고 본격 행보에 나섰다.
이번 TF는 김대순 행정2부지사를 단장으로 도내 관련 부서 실·국장, 반환공여구역 해당 5개 시 부단체장, 경기연구원, 경기도시공사, 학계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민관 협력 기구이며 총괄반, 개발전략반, 연구·자문반 등 3개 반으로 운영된다.
이날 회의에서는 반환공여구역과 주변 지역을 아우르는 종합적 개발 방향을 설정하고, 의정부·파주·동두천 등 경기 북부, 하남·화성 등 경기 동·서부 대개발 사업과 연계한 기반시설 확충 방안을 논의했다.
도로·철도 등 교통망 개선을 통해 개발사업을 지원하고, 각 지역 특성에 맞는 산업·기업 중심형과 문화 중심형 개발을 병행함으로써 일자리 창출과 주민 생활 질 향상을 동시에 달성하는 방안도 다뤄졌다. 또한 세제 감면 혜택 부여 등 제도적 지원 필요성도 제기됐다.
김동연 지사는 지난 5일 현안 대책 회의에서 “지지부진했던 미군 반환공여구역 개발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겠다”고 밝힌 바 있으며, 이재명 대통령 역시 해당 사안을 직접 챙기는 국정과제로 분류해 깊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TF는 매월 정례회의와 수시 회의를 통해 유기적 협력체계를 유지하면서 지자체·전문가 의견을 폭넓게 수렴해 정부와 국회에도 제도적 개선과 지원을 적극 건의할 방침이다.
김대순 경기도 행정2부지사는 “대한민국 전체의 국가 안보를 위해 지난 70년간 희생을 감내한 만큼 이에 대한 보상과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며 “경기도가 주도적으로 과제를 발굴·추진해 개발 속도를 높이고 도 전역의 균형발전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이끌겠다”고 말했다.
의정부=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