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어린이공원 330곳 점검…관리 부실 7건 적발

입력 2025-08-15 11:09

부산시가 지역 어린이공원에 대한 관리 실태를 점검해 놀이시설 안전 점검 형식화, 범죄예방 설비 미비 등 다수의 관리 부실 사례를 적발했다.

부산시 감사위원회는 지난 3월 19일부터 4월 21일까지 어린이공원 330개소를 대상으로 안전 감찰을 한 결과 총 7건의 관리 부실 사례가 확인됐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감찰은 감사 인원 5명과 외부 전문가, 시민 감사관이 참여한 가운데 어린이공원 현황과 시설 상태를 전수 점검해 시설물 관리, 환경·위생 관리, 범죄 및 사고 예방 등 전반을 점검했다.

감찰 결과 시정 2건, 주의 1건, 통보 4건의 행정조치와 함께 관련 공무원 11명에 대한 신분상 주의가 내려졌다. 재정상 조치는 없었지만, 현장에서 즉시 개선한 사항이 9건 있었다.

주요 사례로 어린이놀이시설 314곳 중 81곳(25.8%)은 안전 점검을 형식적으로 하다 보니 현장 상태와 점검 결과가 불일치했다. 녹슬거나 파손된 시설물, 고정 불량, 바닥재 침하 등 108건의 수리·보수 필요 사항이 확인됐고, 일부 구·군은 월 1회 의무 점검을 하지 않거나 놀이기구별 점검을 빠뜨렸다.

동래구와 사하구 어린이공원 2곳은 어린이집 전용공간으로 사용돼 일반인 출입이 차단됐으며 해운대구 모래 놀이터에서는 기생충(개 회충란)이 검출됐다. 어린이공원 330곳 중 83곳(25.2%)만 금연 구역으로 지정돼 나머지 공원 곳곳에서는 흡연 흔적이 다수 발견됐다. 안내 표지판이 없는 곳은 45곳, 노후·파손된 곳도 22곳이었다.

범죄예방과 사고대응 체계도 미흡했다. CCTV나 비상벨이 설치되지 않은 곳이 48곳이었으며, 46곳에서는 관리자 연락처나 사고대처법, 비상 연락처조차 안내되지 않았다. 금정·북·사하구 일부 어린이공원 휴양 시설은 비닐 등 가연성 재료를 덧씌운 채 사용되고 있어 화재 위험에 노출돼 있었다.

시 감사위원회는 “이번 점검은 처벌보다 예방에 중점을 둔 것”이라고 밝혔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