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탄 소년단 멤버 슈가는 고등학교 때까지 농구 선수로 활동하다 진로를 바꿔 전 세계 팬들의 사랑을 받는 글로벌 스타가 됐다. 이렇듯 운동선수의 꿈을 포기하고 숨겨둔 끼를 살려 인생역전에 성공한 인물들을 종종 보게 된다.
제주도에서 왕성한 작품 활동을 하는 작가 백유(52)도 그런 사람 중 한 명이다. 그의 전 직업은 프로 골퍼다. 1998년 6월 한국여자프로골프협회(KLPGA) 프로 테스트에서 당당히 1위로 합격, 프로 골퍼의 길을 걷게 됐다. 백유의 회원 번호는 00156, KLPGA 156번째 정회원이다.
하지만 지금은 사진, 디자인, 회화, 조형, 설치 등 다양한 예술활동을 하는 제2의 인생을 살고 있다. 프로 골퍼의 길도, 골프를 그만두고 작가의 길로 접어든 것도 오롯이 스스로 정한 것이기에 후회는 전혀 없다.
일본에서 태어나 8살 때까지 살다 부모님의 고향인 제주도로 건너온 백 작가는 유년 시절에는 장래가 촉망된 배구 선수였다. 그러던 그가 고등학교 1학년 때 골프의 매력에 빠져 골프채를 잡기 시작했다. 모든 것을 혼자 집중해야 한다는 게 골프의 매력 포인트였다.
시작이 늦었던 터라 누구보다도 열심히 했다. ‘슈퍼 땅콩’ 김미현(48)과 함께 동계 전지훈련도 했다. 그런데 필드에 있는 시간이 길어지면 질수록 내면 깊숙이 잠재해 있던 뭔가가 스멀스멀 올라왔다. 다름 아닌 ‘예술끼’였다.
그래서 부모님께 골프를 그만두고 예술가의 길을 걷겠다고 했다. 당연히 반대가 심했다. 집안의 예술가 DNA와 달리 키도 크고 운동 신경이 워낙 좋아 운동선수로 성공하길 바랐다. 그래서 프로가 되면 골프를 그만두어도 괜찮다는 허락을 받고 골프를 계속했다.
백유는 “부모님께서 ‘프로가 되면 설마 골프를 그만두겠어’라는 생각을 하셨는지 흔쾌히 허락을 해주셨다”라며 “아마도 운동만 했던 내가 예술 활동을 한다는 게 부모님으로서는 미덥지 않았을 것이다”고 당시를 뒤돌아보았다.
그는 프로로서 두 번의 시즌을 보낸 뒤 미련 없이 필드를 떠났다. 그냥 떠난 게 아니었다. 사용하던 골프채를 모두 팔아 없앴다. 다시는 골프판을 뒤돌아보지 않고 오로지 작품 활동에만 전념하겠다는 의지였다. 그리고 그 이후 지금껏 골프채를 잡은 적이 단 한 번도 없다.
필드를 떠난 백유는 제주에서 조용히 작품 활동을 하기 시작했다. 학교에서 교육을 받았거나 따로 개인 교습을 전혀 받지 않았다. 오로지 독학에 의한 작품 활동이었다.
그는 “일본에서 살았던 8년의 시간이 영향이 컸다. 엑스포 등 많은 것들을 봤다. 감수성이 가장 좋을 시기에 시야를 넓힐 수 있었다. 그에 비해 당시 제주도는 촌이었다”라며 “일본은 디지털, 제주는 아날로그였으니까 유년 시절에 양쪽을 경험하면서 영감을 얻었던 것 같다. 특히 제주도는 내게 원초적 영감을 주었다”고 했다.
물론 골프도 그의 작품 활동에서 빼놓을 수 없는 주요 자양분이다.
백유는 “골프는 내가 하고 싶은 예술의 준비단계 역할을 해주었다”며 “그림과 조형은 정신력과 체력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훈련된 모든 과정이 작가가 되는 원동력이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의 작품은 국내보다는 해외에서 먼저 관심을 끌었다. 제주도에서 찍은 특이한 중장비 사진을 작업실에 걸어 놓았는데 그것을 본 프랑스인 작가가 국제 사진 페스티벌에 출품을 권유한 것이다.
그렇게 해서 프랑스에서 작가 백유의 첫 전시가 이뤄졌다. 그것을 시작으로 그는 일본 고베, 동경, 미국 뉴욕 등 해외에서 다수의 개인전 및 그룹전을 열었다.
백유의 작품 모티브는 생명, 주 소재는 피아노다. 피아노를 해체해 새로운 생명을 불어넣는다. 정확히 말하자면 피아노에 제주도 초가집 고재들을 섞은 조형물, 즉 인간을 만드는 작업을 한다.
그가 피아노에 매료된 이유는 피아노가 사람과 가장 가깝기 때문이다. 백유는 “피아노 내부 모든 기능은 인간의 장기와 같다”라며 “오스트리아 여행 중에 뚜껑이 열린 피아노 연주를 보다가 영감을 얻었다. 마치 파편이 튀는 듯한 느낌을 받았다. 귀국하자마자 중고 피아노를 구입해 해체 작업에 들어갔다. 그때부터 피아노에 몰입하게 됐다”고 그 배경을 설명했다.
최근에는 제주 4.3의 아픈 역사를 기억하자는 의미에서 기획된 한라산 소주 동백꽃 에디션에도 참여했다. 가수 한영애씨의 무대 의상 콜라보도 참여해 이효리의 레드카펫과 열린 음악회 출연 때 큰 호응을 얻기도 했다.
백유의 작품은 장르를 불문한 종합예술이다. 그런 그가 앞으로 꼭 해보고 싶은 분야가 있다. 다름 아닌 대형 조형물이다. 그는 “지금은 한계가 있지만, 빌딩 앞에 우뚝 세워져 많은 사람의 사랑을 받는 대형 조형물을 머지않은 시기에 꼭 해보고 싶다”는 바램을 밝혔다.
골프 웨어 콜라보 작업도 그가 해보고 싶은 영역이다. 백유는 “골프웨어 또는 용품 콜라보를 해보는 게 꿈”이라며 “특히 골프웨어는 자신이 있다. 프로 골퍼 출신이어서 기능적, 디자인적으로 적절한 포인트를 잘 잡을 수 있을 것 같다”고 했다.
자신의 작품 패턴이 탄생한 제주에서 향후 활동도 계속해나가겠다는 작가 백유는 “골프는 치지 않지만 가끔 제주도에서 열리는 대회에 갤러리는 간다”라며 “미술 작품도 많이 사랑해주시고 한국 여자 골프에 대한 지지와 응원도 부탁드린다”는 말로 인터뷰를 마쳤다.
서귀포=정대균 골프선임기자 golf560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