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뷰] 전주세계소리축제 ‘심청’, 무수히 죽어간 딸들에게 바치는 진혼곡

입력 2025-08-14 13:00 수정 2025-08-14 15:01
전주세계소리축제와 국립창극단이 공동제작한 판소리 씨어터 ‘심청’. (c)전주세계소리축제, 국립극장

전주세계소리축제와 국립창극단이 공동제작한 판소리 씨어터 ‘심청’이 마침내 베일을 벗었다. 지난 13일 전주 한국소리문화의전당 모악당 무대에 오른 ‘심청’(~14일, 9월 3~6일 국립극장)은 개막 전부터 공연계의 화제를 모았다. 근래 창극이 전성시대로 불릴 만큼 인기를 구가하는 가운데 독일 만하임 오페라극장 상임 연출가인 요나 김이 대본과 연출을 맡았기 때문이다. 요나 김은 원작의 틀에 얽매이지 않고 연출가의 독창적인 시각으로 작품을 재구성하는 ‘레지테아터’ 스타일을 견지하는 만큼 ‘심청’을 어떻게 재해석할지 관심이 집중됐다.

‘심청’은 우선 국립창극단 단원을 포함해 무용수, 아역배우, 합창단 등 150여 명의 출연진이 나오는 유례없는 대작이다. 그리고 기존 창극에선 보기 어려운 잦은 떼창(서양음악의 합창과 달리 화음이 없음)과 배우의 감정과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포착해 스크린으로 송출하는 라이브 카메라 활용 등 형식적인 면에서 눈길을 사로잡았다. 하지만 이보다 더 강렬한 것은 효녀 심청에 담긴 유교적 가치나 동화적 판타지를 완전히 깨부수는 재해석이다. 창극이 정형화된 이미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판소리 씨어터라고 명명한 것도 이 때문이다.

전주세계소리축제와 국립창극단이 공동제작한 판소리 씨어터 ‘심청’. (c)전주세계소리축제, 국립극장

서막과 2막9장으로 구성된 ‘심청’은 초반부터 원작을 전복하는 방식으로 전개된다. 관객이 극장에 들어서면 파도치는 소리와 함께 무대 위 스크린에 심청이가 누구인지 묻는 인터뷰에 사람들이 대답하는 영상이 흘러나온다. 대부분 ‘아버지의 눈을 뜨게 하려고 공양미 300석에 인당수에 몸을 던진 효녀’라고 답한다. 영상이 끝난 뒤 공연장 뒤편에서 어린 소녀 60명이 소리 지르며 들어왔다가 나가면서 극이 본격적으로 전개된다.

1막은 TV와 냉장고 등이 있는 현대적인 실내가 배경이다. 검은 안경을 착용한 심봉사가 아이를 안고 잠들어 있다. 심봉사 주변에서 펼쳐지는 장례 행렬은 꿈속 장면이다. 현실에선 아이의 울음소리에 깬 심봉사가 화를 내다가 다시 잠들고, 무대 뒤편 영상 속에서 여인들이 번갈아가며 아기에게 젖을 먹인다. 그리고 무대에 등장해 죽은 어머니의 위패를 옷장 선반에 올려놓는 어린 소녀는 심청이 자란 것을 보여준다.

전주세계소리축제와 국립창극단이 공동제작한 판소리 씨어터 ‘심청’. (c)전주세계소리축제, 국립극장

이어 심청이가 남경 선인에게 자신을 파는 것과 관련해 효심 때문이라는 원작과 달리 그런 선택으로 몰리는 상황이 그려진다. 심봉사는 딸을 방치한 채 뺑덕어멈과의 관계에만 관심 있고, 탐욕스러운 뺑덕어멈은 심청이를 장승상 댁에 놀이개로 던져놓는다. 이런 상황에서 심청이도 사실상 자신을 학대하는 아버지에 대한 살의를 드러내기까지 한다.

당연히 심청이 용궁에 가고 환생해서 왕비가 된다는 판타지는 이번 작품에 등장하지 않는다. 사실 원작의 판타지는 소녀의 희생에 대한 사람들의 죄의식이 만들어낸 것이다. 이에 따라 심봉사가 심청을 다시 만난 뒤 눈을 뜨는 해피엔딩 역시 이번 작품에선 바뀐다. 그래서 심청이 물에 빠져 죽는 장면이 1막에 이어 2막 하이라이트에 다시 한번 등장한다. 다만 2막의 경우 심봉사가 실제로 눈을 떠서 그것을 목도하는 것인지, 아니면 마음의 눈으로 자신의 잘못을 깨닫는 것인지 분명하지 않다. 다만 공연 내내 진실을 외면하는 사람들을 ‘눈뜬장님’으로 표현한다는 점에서 깨달음으로 해석하는 게 맞지 않을까 싶다.

전주세계소리축제와 국립창극단이 공동제작한 판소리 씨어터 ‘심청’. (c)전주세계소리축제, 국립극장

이번 작품은 장면마다 다양한 은유와 상징이 숨겨 있어서 찾는 재미가 있다. 공연 마지막에 심청이 높은 기둥 위에 올라가는 것과 영상 속에서 극장 밖으로 나서는 모습은 우리 역사 속에 존재한 수많은 심청의 희생과 생존을 상징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들의 희생이 사람들에게 깨달음을 주는 한편 살아남은 심청들은 우리 사회가 진보하도록 만들었다.

요나 김 연출가는 “이 작품은 그동안 이름 없이 죽어간 수많은 약자, 특히 딸들의 무덤에 바치는 진혼곡”이라면서 “수많은 심청들이 있기 때문에 21세기에 우리가 이런 작업도 할 수 있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전주세계소리축제와 국립창극단이 공동제작한 판소리 씨어터 ‘심청’. (c)전주세계소리축제, 국립극장

다만 이번 작품에 대한 반응은 엇갈리는 편이다. 공연이 끝난 뒤 환호와 기립박수도 나왔지만, 공연 도중 퇴장한 관객도 40명 안팎이나 됐다. 일부 소리꾼과 전통 판소리를 선호하는 관객들은 레지테아터 방식의 새로운 창극에 당혹감을 드러냈다.

하지만 다수의 창극을 연출한 남인우 연출가는 “이번 작품은 ‘심청가’의 눈대목을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원작의 이면을 드러냈다는 게 너무 놀라웠다. 결말을 비롯해 작품의 해석이 무릎을 ‘탁’ 치게 만들었다”며 “원작을 현대적 시선으로 재해석한 요나 김 연출가의 뚝심이 한국 창극을 한 걸음 더 앞으로 나아가게 만들었다”고 높이 평가했다.

전주=장지영 선임기자 jy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