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15개점 추가 폐점키로… ‘긴급 생존경영’ 돌입

입력 2025-08-13 16:39
서울의 한 홈플러스 매장. 연합뉴스

홈플러스가 전국 15개 점포를 순차적으로 폐점하고 본사 전 직원 대상 무급휴직제를 시행하기로 했다. 기업회생 절차를 개시한 지 5개월이 지났지만 인수·합병(M&A) 의향자를 찾지 못한 데다 매출 감소로 자금 압박이 심화되면서 긴급 생존경영 체제로 전환했다.

홈플러스는 지난 3월 4일 회생 절차 개시 이후 임대료 인하 협상에서 진전이 없는 점포 15곳을 우선 폐점하기로 했다고 13일 밝혔다. 대상 점포는 서울 시흥·가양점, 경기 일산·안산고잔·수원원천·화성동탄점, 인천 계산점, 충남 천안신방점, 대전 문화점, 대구 동촌점, 부산 장림·감만점, 울산 북구·남구점, 전북 전주완산점 등이다. 계획대로 폐점이 진행될 경우 홈플러스 점포는 102개로 줄어든다. 홈플러스는 회생 개시 후 68개 임대 점포의 부동산 리츠·펀드 운용사들과 임대료를 30∼50% 깎아달라는 협상을 진행해왔다.

홈플러스 관계자는 “홈플러스의 자금 상황이 뚜렷하게 개선되지 않고 있다”며 “신뢰도가 하락하면서 일부 대형 납품업체들이 정산 주기를 단축하거나 거래 한도를 축소하고, 선지급과 신규 보증금 예치를 요구하는 사례가 늘면서 현금흐름이 악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홈플러스는 회생 기반을 다지기 위한 자구책으로 다음 달 1일부터 본사 전 직원을 대상으로 희망자에 한해 무급휴직을 시행하기로 했다. 지난 3월부터 진행해온 임원 급여 일부 반납 조치 또한 회생 성공 시까지 연장하기로 했다.

조주연 홈플러스 공동대표는 이날 전 임직원에게 보낸 메시지를 통해 “지금과 같은 상황이 지속된다면 인가 전 M&A를 통한 회생 자체가 위태로워질 수 있는 절체절명의 위기”라며 “더 이상 미룰 수 없어 최후의 생존경영에 돌입하게 됐다”고 말했다.

홈플러스는 이번 위기가 민생경제와 고용안정에 직결되는 문제라며 정부의 정책적 관심과 지원을 촉구했다. 홈플러스는 최근 정부가 지급한 소비쿠폰의 사용처에서 대형마트가 배제되면서 매출 감소 폭이 확대돼 유동성 압박으로 이어졌다고 주장하고 있다.

홈플러스 노조는 점포를 폐점하기로 한 사측 결정에 반발했다. 안수용 마트노조 홈플러스지부장은 “대주주 MBK파트너스가 자구 노력 없이 회사를 쥐어짜고 있다”며 “점포를 분할 매각하지 않고 통매각하겠다고 발표한 약속을 뒤집었다”고 비판했다. 회사 측은 폐점 점포 직원들의 고용은 지속 보장하고, 근무지 이동 시 ‘고용안정지원제도’를 적용해 적응을 돕겠다고 밝혔다.

김성훈 기자 hunh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