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의 800만달러 ‘쌍방울 대북송금’ 혐의를 받는 김성태 전 쌍방울그룹 회장이 “(이재명 대통령과) 직접적으로 관계되거나 소통한 적 없다”면서 이 대통령과의 연관성을 정면으로 부인하고 나섰다.
이는 쌍방울 대북송금 사건과 관련해 김 전 회장이 과거 검찰에 증언한 핵심 내용을 뒤집은 것이어서 향후 진행될 (이 대통령의 3자 뇌물죄 험의 사건) 재판의 향배에 변곡점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이화영 전 경기도 평화부지사 재판 당시 김 전 회장은 2019년 7월 스마트팜 사업비 500만 달러를 북한 측에 건넬 때 “이화영 전 부지사가 이재명 지사에게 전화를 걸었고, 자신이 전화를 건네 받아 앞으로 열심히 하겠다는 말을 했다”고, 그해 7월 방북 비용 300만 달러를 북한 측에 건넨 후에도 “이 지사와 통화했다”고 말한 바 있다.
지난 11일 오마이뉴스 등 언론보도에 따르면 김 전 회장이 “(이재명 대통령과의 공범관계에 대해)) 그건 직접적으로 관계되거나 소통한 적 없다는 취지로 (변호인이 법정에서) 말한 것”이라면서 “그분(이재명 대통령)이 직접 저한테 뭘 하라고 한 건 아니기 때문에 그 취지로 말한 거다. 직접적으로 나도 들은 게 없다”고 강조했다.
앞서 김 전 회장 변호인은 지난달 22일 진행된 이 대통령의 제3자 뇌물 혐의 공판준비기일에서 “다른 사건에서는 이화영에 대한 공범 관계를 인정했지만 이 사건 공소장에서는 (공범이) 이재명이다”며 “그 부분에 대해서는 그런 사실이 없다”라고 주장한 바 있다.
김 전 회장은 2019년 당시 경기도의 북한 스마트팜 지원 비용 500만달러와 당시 경기지사였던 이 대통령의 방북 비용 300만달러 등 800만달러를 북한에 대납한 혐의(외국환거래법 위반)를 받는다.
대북송금 사건에 연루돼 동남아에서 도피 중인 배상윤 KH그룹 회장도 최근 방송 인터뷰를 통해 “대북송금 사건은 이 대통령과 무관하다”고 주장한 바 있다.
이 대통령은 지난해 9월 검찰 조사 때 제출한 진술서를 통해 “경기도나 이재명은 북측에 돈을 줄 이유도 의무도 없다”며 “스마트팜 비용 대납 명목이라는 500만 달러는 쌍방울이 북측과 체결한 대북경협 사업의 대가이며, 도지사 방북비 300만 달러는 김성태가 방북해 북측과 경협합의서를 공개적으로 체결하려는 대가로 보는 것이 합리적 추론”이라고 밝혔다.
더불어민주당 박수현 수석대변인은 12일 서면 브리핑을 통해 “대북송북 의혹으로 재판을 받고 있는 김성태 전 쌍방울그룹 회장이 이재명 대통령과의 ‘공범관계’를 다시 명백히 부인했다”며 “배상윤 KH그룹 회장, 김성태 전 회장의 변호인, 그리고 김성태 전 회장까지 일관되게 이재명 대통령과 대북송금의 연관성을 부정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변호사비 대납 의혹에서 시작된 대북송금 의혹이 조작된 사건임을 증명하는 또 다른 정황이다. 오직 김성태 전 회장의 진술 하나에 의지한 검찰의 사상누각 기소는 이제 그 종막을 향해 가고 있을 뿐”이라고 했다.
이 대통령에 대한 쌍방울 대북 송금 관련 제3자 뇌물 혐의 재판은 지난달 7월 22일 공판을 기점으로 무기한 중단된 상태로, 이 대통령 임기가 끝난 후 다시 재개될 예정이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