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국립 대구독립역사관’(이하 독립역사관)을 품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시는 독립역사관이 호국보훈 도시를 지향하는 대구의 이미지를 강화시켜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는 독립역사관 조성 사업 국정과제 포함을 정치권과 정부 등에 요청해 놓았다. 대통령 직속 국정기획위원회는 13일 대국민보고대회에서 국정 과제 등을 발표할 예정이다.
이 사업은 이전 정부에서도 논의가 됐었다. 당시 대구 서문시장 인근에 다양한 사료 등을 바탕으로 한국 근현대사와 독립운동사 등을 알리고 교육하는 시설 건립이 검토됐고 지역에서도 광복회 대구시지부 등이 나서 관련 토론회를 개최하는 등 긍정적인 반응이었다. 하지만 새 정부가 들어설 때까지 진전이 없었다.
이에 시는 독립역사관을 새 정부에서 다시 시작하기 위해 더불어민주당 대구시당 등 정치권에 국정과제 포함을 적극 요청했다. 대구에 독립역사관이 조성돼야하는 당위성 등도 적극 홍보하고 있다.
시는 대구가 독립역사관을 품을 자격이 충분하다는 입장이다. 독립운동사의 중요한 출발점인 대한광복회가 대구에서 결성됐고 국내 유일 독립유공자 전용 묘역 신암선열공원이 있다는 점, 최초의 국권수호운동인 국채보상운동 발상지이자 많은 순국 애국지사가 수감됐던 대구형무소가 있었던 점 등을 내세우고 있다. 올해 대구형무소 터(중구)에 있는 삼덕교회에 ‘대구형무소 역사관’이 들어서는 등 역사 기념·복원 활동도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대구형무소 역사관은 삼덕교회 60주년 기념관 2층에 자리 잡고 있다.
또 6·25전쟁 당시 자유민주주의 수호의 보루였던 점, 대한민국 최초 민주화 운동인 2·28민주운동이 대구에서 일어난 점도 당위성을 높인다고 시는 설명했다. 2·28민주운동 역시 매년 기념행사를 개최하는 등 기념사업이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대구 중구에 조성된 근대문화골목 등 역사적 장소가 많은 것도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대구시 관계자는 12일 “독립역사관 조성이 국정 과제에 포함되면 대구가 다양한 호국보훈 콘텐츠를 보유한 국가 구국운동 거점으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역에서 독립역사관 건립에 호의적인 시선만 있는 것은 아니다. 박정희 우상화사업 반대 범시민운동본부는 최근 성명을 통해 “친일, 반민족 행위자 박정희 동상부터 치우고 독립역사관 설립을 말하라”며 시를 비판하기도 했다. 시가 추진했던 박정희 기념사업은 동대구역 동상 건립 후 사실상 중단된 상태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