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교육청은 갈수록 늘어나는 폐교를 미래교육과 지역발전을 위한 자산으로 재활용하겠다고 12일 밝혔다.
교육청에 따르면 지난 1982년 이후 올해 3월까지 경북에서 폐지된 학교는 732개다.
이 가운데 495개는 매각 등으로 처분됐고 7월 현재 교육청이 가지고 있는 폐교는 모두 237개다.
76개는 교육용 시설로 자체 활용되고 있고 103개는 지방자치단체 또는 지역 주민 등에게 임대돼 활용 중이다. 활용 방안을 찾고 있는 미활용 폐교도 58개에 달한다.
최근 3년간 분교 8개와 본교 2개 등 10개가 폐지됐고 다음달에는 월곡초 삼계분교(안동) 등 4개가 또 문을 닫는다.
학령인구 감소 추세를 고려하면 폐교 수는 앞으로도 계속 늘어날 전망이다.
폐교 미활용 상태가 지속되면 건물 노후화로 인한 안전 문제, 우범 지역화 가능성, 관리 비용 증가 등의 문제가 제기된다.
그러나 농산어촌의 폐교는 입지 여건과 접근성 제약으로 활용 방안을 마련하는 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경북교육청은 폐교를 활용해 학생들에게는 창의적이고 미래지향적인 교육을 제공하고 지역 주민들에게는 문화·예술·체험 기회를 늘이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이바지하는 다목적 공간으로 재탄생시키겠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입지가 좋고 교육수요가 있는 폐교는 교육시설로 활용한다.
또 매년 폐교재산 홍보자료를 제작·배포해 활용 수요를 발굴하고 체험관이나 연수원 등으로 전환하기로 했다.
특히 장기 미활용 폐교 10개를 중점 관리 대상으로 지정해 대부나 매각을 적극 추진키로 했다.
폐교 활용 공모도 추진해 주민공동체와 새로운 활용 방안을 찾기로 했다.
지난해 공모로 선정된 4개는 대부계약을 체결한 상태다. 교육청은 공모사업을 2~3년 주기로 정례화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폐교재산의 효율적인 활용방안 연구’ 용역도 추진한다.
경북교육청 관계자는 “폐교는 우리 아이들의 소중한 꿈이 자라던 공간”이라며 “단순히 문을 닫는 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지역사회와 함께 호흡하는 공간으로 재탄생시키겠다”고 밝혔다.
안동=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