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공학한림원은 인도공학한림원과 ‘AI와 반도체로 스마트한 미래 만들기’를 주제로 온라인 워크숍을 진행한다고 11일 밝혔다.
올해로 8회째를 맞는 한-인도 워크숍은 양국의 전문가들이 참여해 머리를 맞댄다. 전혜정 LG전자 인공지능연구소 연구위원과 류수정 서울대 차세대반도체혁신융합대학 초빙교수가 좌장으로 나서고, 해당 분야 전문가 18여명이 발표자 및 패널로 참여한다.
오는 12~13일 진행되는 워크숍은 ‘AI 분야 발전을 위한 스마트 제조와 글로벌 협력’과 ‘반도체 제조 및 파운드리 협력 이니셔티브’를 주제로 진행된다.
AI를 활용한 스마트 제조 분야에서는 황원재 LG전자 생산기술연구원 상무가 LG의 스마트팩토리 혁신 사례를 발표한다. 이어서 자나카라잔 람쿠마르 인도공과대학(IIT) 명예교수가 ‘AI 기반 스마트 제조 물류’에 대해 설명할 예정이다.
AI 분야에서 국제적 협력 기회와 관련해서는 최재식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 겸 ㈜인이지 대표가 ‘한국 제조 공정의 AI 변환’에 대해 발표한다. 이후 주경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부연구위원과 모정훈 연세대 교수 등이 참여하는 라운드테이블 토론에서 ‘AI 스마트 제조와 한-인도 협력’에 대한 논의가 이뤄질 예정이다.
반도체 제조 이니셔티브 분야에서는 송태중 삼성전자 파운드리사업부 상무가 ‘삼성 파운드리의 반도체 미래 비전과 인도에서의 성공 사례’를 발표한다. 이어서 시브 고빈드 싱 IIT 교수가 ‘3D-IC 통합을 위한 저온 저압 금속-금속 접합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반도체 파운드리 협력과 관련해서는 조명현 SEMIFIVE 대표가 ‘독립적인 반도체 인프라를 위한 인도와 한국 연결’에 대해 발표한다. 이후 최리노 인하대 교수와 이강윤 성균관대 교수 겸 ㈜스카이칩스 대표 등이 참여하는 라운드테이블 토론에서 ‘반도체 제조와 협력’에 대해 폭넓은 논의가 이뤄질 예정이다.
윤의준 한국공학한림원 회장은 “AI와 반도체 분야에서 한국과 인도는 훌륭한 파트너로,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기술 자주권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양국이 더욱 강력하고 협력적인 혁신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이번 워크숍을 통해 AI, 반도체뿐 아니라 항공우주, 모빌리티, 첨단 제조 등 응용 분야에서의 협력을 강화하는 실질적인 통찰과 아이디어를 얻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심희정 기자 simc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