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가 생존을 위협하는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면서 대구 공공기관들이 앞다퉈 기후위기 대응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지역 공공기관들은 최근 잇따르고 있는 자연재해를 접하면서 기후위기를 현실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대구시는 기후변화로 인한 신종 감염병 창궐 등 보건위기 상황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감염병 대응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감염병 대응 실무자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 대구시 감염병관리지원단 주관으로 팀장 과정과 예비방역인력 양성교육을 진행해 현장에 즉시 투입 가능한 114명의 수료생을 배출했다.
하반기에는 보다 심화된 교육 프로그램인 담당자 과정을 운영해 기초 역학조사, 긴급 방역조치, 감시체계 운용 등을 교육할 계획이다. 대구시는 앞으로도 현장 중심의 실무 교육을 확대해 전문 인력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대구시 관게자는 11일 “예비 인력부터 지방자치단체 실무자까지 맞춤형 교육을 통해 실질적 대응 역량을 갖춘 인력풀을 확보하게 됐다”고 평가했다.
대구 달서구는 한국외식업중앙회 대구시지회 등과 함께 기후위기식단 실천운동 확산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기후위기 심각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음식물 쓰레기 감량과 일회용품 사용 줄이기 등 지속 가능한 식생활 습관 확산 분위기 조성이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두 기관은 앞으로 기후위기식단 실천 방안 공동 발굴과 인식 개선 홍보, 회원업소의 자발적 참여 확대 등에 협력할 예정이다.
대구 중구는 내년부터 2030년까지 중구 맞춤형 기후위기 대응 세부 계획(3차)을 수립한다. 기존 수립된 계획을 세부적으로 다듬는 작업으로 최근 기후 변화와 정책 동향 등을 고려해 지역 특성에 맞춘 대응 방안들을 마련할 예정이다.
대구 동구는 기존에 발표했던 목재 친화 도시 조성 사업을 올해 본격화했다. 이 정책은 탄소 배출 감소 등의 효과를 얻기 위해 시멘트와 철골 대신 나무를 사용한 인프라와 편의시설을 늘리는 것이다. 불로동 막걸리 제조 기술 전수관 목재건축물로 건설, 목재특화거리 조성, 나무 가로등과 벤치 설치 등을 진행하고 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