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경기패스’ 1년, 민생·환경·경제 모두 잡았다

입력 2025-08-11 10:50

경기도 ‘The 경기패스’가 시행 1년 만에 교통비 절감, 온실가스 감축,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세 마리 토끼’를 잡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는 대중교통수단의 교통비 일부를 환급하는 ‘The 경기패스’가 교통비를 도민에게 약 30% 환급해 민생 만족도를 높였다고 11일 밝혔다.

경기연구원이 발표한 ‘The 경기패스 시행에 따른 사회·경제적 효과’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5월 사업 시작 후 이용자는 월평균 6만7000원의 교통비를 지출하고, 이 중 약 2만원(30%)을 환급받았다.

이를 연간으로 환산하면 약 24만원이다. 제도 시행 이후 1인당 월평균 대중교통 이용 횟수는 2024년 5월 29회에서 같은 해 11월 39회로 늘어났다.

이 증가분을 바탕으로 연구원은 연간 CO2eq(이산화탄소 환산량) 약 22만t이 줄어든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30년생 소나무 1100만 그루가 1년간 흡수하는 탄소량과 맞먹는다.

절감된 금액의 약 56%는 외식이나 여가 등 소비로 이어졌고, 이를 환급액 총 1908억원 기준으로 계산하면 약 1072억원이 실제 소비로 창출됐다.

The 경기패스는 국토교통부의 ‘K-패스’에 경기도민 맞춤 혜택을 더한 제도로, 청년 연령을 39세까지 확대하고, 1일 2회 및 월 60회 한도 제한을 없애 대중교통 비용의 20~53%를 환급한다. 전국 어디서나 버스·지하철·광역버스·GTX·신분당선 등을 이용할 때 혜택이 적용된다.

또한 도는 올해 7월부터 전국 최초로 환급형과 정기권의 장점을 결합한 ‘통합형 교통비 지원’ 제도를 시행해 월 61회 이상 이용분에 대해 전액 환급하고 있다. 이를 통해 잦은 이용자의 경우 사실상 무제한 정기권과 같은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이용 신청은 K-패스 또는 카드사 홈페이지에서 전용 카드를 발급받은 뒤 K-패스 누리집 회원가입을 하면 된다. 주소지 검증을 통해 경기도민임이 확인되면 자동으로 혜택이 적용된다.

윤태완 도 광역교통정책과장은 “The 경기패스는 교통복지를 넘어 기후위기 대응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아우르는 대표 민생정책”이라며 “앞으로도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교통정책을 적극 펼치겠다”고 밝혔다.

의정부=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