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사회적 단절 상태에서 정상적인 사회활동이 어려운 ‘은둔형 외톨이’의 현황을 파악하고 맞춤형 지원책을 마련하기 위해 3년 만에 실태조사에 나섰다.
부산시는 11일 부산연구원과 함께 ‘제2차 은둔형 외톨이 실태조사’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부산시 은둔형 외톨이 지원 조례’에 따라 지역의 은둔형 외톨이 규모와 특성을 파악하고 안정적·체계적인 지원 정책을 마련하는 것이 목적이다.
설문조사는 부산에 거주하는 은둔형 외톨이 당사자와 가족을 대상으로 이날부터 내달 15일까지 온라인으로 진행된다. 본인이나 가족이 과거 또는 현재 일정 기간 외출을 하지 않거나 기본적인 외출은 하지만 사람들과 소통하지 않는 경우 참여할 수 있다. 조사 항목은 성별·나이, 은둔 기간과 계기, 건강 상태, 주요 활동, 정보 취득 경로, 회복 방법, 필요한 서비스 욕구 등이다. 응답 자료는 통계법에 따라 비밀이 보장된다.
시는 이와 함께 학계와 현장 전문가를 대상으로 초점 집단면접 조사(FGI)를 진행해 구체적인 정책 제언과 의견을 수렴할 계획이다. 조사 결과는 은둔형 외톨이 지원 기본계획 수립과 기초지자체 조례 제정, 민간기관의 고립·은둔 사업 기초 자료로도 활용된다.
앞서 시가 2022년 진행한 1차 조사에서는 당사자 597명, 가족 213명이 응답했다. 이 가운데 20~30대 비중이 81.1%로 높았으며, 은둔 기간은 1년 이상 3년 미만이 30.5%로 가장 많았다.
정태기 시 사회복지국장은 “이번 조사에서 파악된 은둔형 외톨이 규모와 서비스 수요를 지원 계획과 사업 발굴에 적극 반영하겠다”며 “본인이나 가족의 상황을 살펴 참여해 달라”고 말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